의정부경전철(주) 협약 해지시 지급금 줄이기
의정부시 “시간 끌기 하고 있다”
市, 전·현직 의장단 초청 설명회
경로무임 등도 계산된 정책 파장
의정부시가 “의정부 경전철(주) 파산으로 협약 해지 시 지급해야 할 금액을 최소화하려고 ’시간 끌기’를 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밝혀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시는 수요 활성화를 위해 그동안 추진해온 경로 무임, 수도권 환승 할인 등도 조기 파산 시 막대한 지급금을 줄이기 위한 계산된 ‘시간 끌기용’ 정책이었음을 숨기지 않았다.
시는 8일 이만수 전 시의회 의장, 조무환 전 부의장 등 11명의 전ㆍ현직 의장과 부의장 등을 초청해 경전철 파산위기 대응상황 설명회를 열었다.
시는 이 자리를 통해 “협약서에는 파산 시 감가상각률이 연간 9.5%씩 낮아진다는 내용이 있다. 개통 뒤 초기 연도 수요가 협약수요의 15% 정도에 그쳐 시행자가 바로 파산하면 3천800억 원을 물어줘야 할 상황으로 경로 무임, 수도권 환승 할인 등 수요활성화정책을 펼치면서 운영하도록 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지 시 지급금이 1차년도 3천800억 원, 2차년도 3천500억 원 등에서 현재 2천200억 원까지 줄어들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시행자가 파산을 신청한 뒤에도 지급금을 줄이려고 시간을 끄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시는 “해지 시 지급금 준비방안으로 민간자본 조달과 지방채 발행 등이 있으나 지방채가 이자가 가장 싸 이를 고려하고 있고 행자부, 경기도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역대 의장단들은 “지방채를 발행해 2천500여억 원의 해지 지급금을 준비하면 시의 재정 운영에 지장이 우려된다”며 “긴축 재정과 함께 불필요한 공공재산을 매각하는 등 지방채 발행을 최소화하라”고 주문했다. 이어 “(경전철)운행이 중단되는 일은 없어야 하고 앞으로 단편적인 활성화 대책보다는 순환노선, 민락지구 연장 등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하라”고 요구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