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그러한 밑그림을 보면서 한편에서의 실망감을 감출 수 없었다. ‘글로벌 녹색도시’, ‘지속가능발전 모범도시’의 토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싶어서였다. 인천시의 이번 조직과 인사로는 인천시민의 녹색복지와 도시환경의 질이 여전히 선언적 미래 비전으로 남았다는 판단이다.
인천시는 그간 틈틈이 인천시민의 삶의 질을 포함해 국제적으로도 손색이 없는 친환경 도시로의 구상을 강조해왔다.
오래전 수립된 2025년 인천도시기본계획에 인천시는 ‘누구나 살기 좋은 글로벌 녹색도시 인천’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관리 방향을 공식화했다. 2013년, ‘녹색기후기금(GCF) 유치 직후 개최된 ‘글로벌 녹색수도 인천시의 발전전략’이라는 포럼도 기억에 떠오른다. GCF 유치가 인천이 ‘글로벌 녹색수도로의 도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기회’라고 인천시는 규정했다.
이어 2015년 초 ‘글로벌 녹색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막바지에 녹색도시의 미래상에 대한 시민의견을 청취하는 공식 자리를 갖기도 했다. 당시 이 용역은 저탄소·친환경도시 및 온실가스 감축, 도시계획과 기후변화대응, 에너지계획에의 환경적 가치 접목을 위한 전략수립이 주목적이었다. 지난해 말, 시는 다시금 ‘지속가능한 글로벌 녹색수도 인천 건설’을 정책방향으로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민의 환경권 회복, 시민의 삶의 질, 미래세대, 소중한 가치, 시민행복 체감지수 등등의 표현을 나열했다.
수없는 기회에 도시의 체질개선 노력에 시민들이 적극 참여해 달라는 인천시 관계자의 당부가 빠지지 않았다. 그래서 시민사회는 그간 도시계획과 개발의 전략에 지속가능 발전 개념을 통합시켜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해왔고 구체적으로 지속가능발전정책 공식 논의체계 마련, 민·관 협치체계(거버넌스) 법적·재정적 강화, 형식적 위원회 대신 다양한 현안과 주요 정책결정 과정에 이해당사자들 적극적 견인 등을 주문해왔다.
그런데 정작 인천시의 부합하는 노력의 증거와 성과를 우리는 어디서 찾아야 하는가? 혹시 경제성장 일변의 도시, 미화된 개발의 도시, 권력화와 중심화를 갈구하는 도시를 여전히 목도하고 있는가? 특히 현 시장의 정치적 비전에 맞닿은 정책이 우선순위로 놓인 것은 아닐까? 언제, 어떻게 현실이 될지 모를 이상(理想)이라든가 듣기 좋은 음률같은 것으로만 지속가능한 글로벌 녹색수도 인천을 경험해서야! 무언가를 기다리는 마음이란 게 본래 성급해서겠지만 어느 세월에 그날을 볼 것인가.
지영일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처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