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관 돌출·균열·파손 등 나타나 도로침하 원인으로
市, 이달 중 환경부와 국비지원 협의… 단계 정비키로
6일 시에 따르면 환경부지침을 토대로 전체 하수관로 666㎞ 가운데 2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 등 180㎞를 대상으로 지난 2015년 8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1차 정밀 조사를 진행했다.
또한, 2차로 지난해 9월부터 오는 9월까지 340㎞를 조사하고 있다. 1차 조사결과 180㎞의 40%인 71.93㎞가 연결관 돌출, 이음부 이탈, 균열, 관 침하, 파손, 변형 등으로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7%인 14. 25㎞는 긴급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조사가 끝나면 보수대상은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시가 그동안 지속적으로 노후관 교체사업을 벌였는데도 보수 대상이 많은 것은 내구연한이 20년으로 짧고 생활하수로 산화 부식이 쉬운 흄관이 전체 하수관의 70%에 이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에선 지난해 모두 5건의 지반 침하현상이 발생했다. 이처럼 보수하지 않으면 지반 침하가 우려되는데도 시는 땜질식 보수에 그치고 있다. 예산 때문이다. 1차 조사분에만 긴급 보수 180억 원, 일반 보수 601억 원 등 모두 781억 원이 필요하다.
2차 조사 결과가 나오면 2천억 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시는 1차 보수 대상 중 붕괴, 관절단 등 구조적 결함이 있는 의정부동 둔야로 49 서초등학교 앞 등 6곳 272m에 대해서만 지난해 2억5천만 원을 들여 교체했다. 시는 이달 중 환경부와 국비지원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국비를 지원받아 연차적으로 정비에 나설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전국 지자체가 같은 현상이다. 조사가 완료되면 원인 분석 및 대응방법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로부터 지원받아 긴급한 관로를 우선 보수하고 연차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구조적 안정성 평가 등 지속적으로 관리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