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관 주도’→‘민간협력형’ 협치 방안 마련

평택시는 지자체와 시민사회, 기업 등이 협동하는 시정 거버넌스를 종전 ‘관(官)’ 주도에서 탈피, 지자체와 시민사회, 기업 등이 협동하는 ‘민간협력형’ 협치 시스템으로 추진한다.

 

5일 시에 따르면 신뢰와 협동의 협치 평택을 실현하기 위해 ▲시정 거버넌스의 인식 공유와 상호신뢰 강화 ▲관 주도에서 민관협력형 거버넌스 체제로 전환 ▲평택형 거버넌스 제도적 기반 강화 ▲융복합형 거버넌스 모델 구축 등 4개 추진과제를 설정했다.

 

거버넌스 인식 공유를 위해 공무원·시민사회·중간지원조직 교육혁신을 통해 거버넌스 행정과 주민운동을 정착시키고, 민관과 협력해 지역 실정에 맞는 통합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한다.

 

주민 참여 공공정책 결정·시민사회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재정계획을 수립하는 등 평택형 거버넌스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시민사회 역량 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는 등 통합 거버넌스도 구축한다.

 

시는 이를 위해 혁신을 통해 각종 위원회의 중복된 조직을 일원화하고, 비영리 민간단체 지원 제도를 수정하는 등 지방정부 지원 역할을 재검토해나가기로 했다.

 

사회적 경제, 사회복지와 일자리, 마을 만들기, 도시재생 등 현장마다 운영되고 있는 중간지원조직과 지자체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거버넌스 위원회를 구성해 주요 사업과 정책 등을 개발해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앞서, 지난해 7월 주민자치과에 거버넌스팀을 발족, ‘급하지만 조급하지 않게’라는 모토를 내걸고 거버넌스에 대한 공직 내부이해 확산, 시민사회 간 매게 역할 강화, 시민사회 요구 정책에 접목, 거버넌스 실행계획 마련 등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 동안 평택시 거버넌스 발전계획 연구용역에 나서 이 같은 결과를 도출해 냈다.

 

시 관계자는 “평택형 거버넌스 조성을 위해 공직자와 시의회, 사회단체가 함께 모여 연구하는 자리가 최근에 자주 마련되고 있다”며 “이 자리에서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방안을 마련, 지역을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평택=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