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까지 선정했지만 일부 토지·건축주, 조합 해산 신청
市, 이달 중 정비구역해제 의결… 주민들 “우범화 우려”
전철 1호선과 의정부 경전철 등의 환승역으로 하루 4만여 명이 통행하는 의정부 회룡역과 인접한 외미마을이 슬럼화하면서 우범지대화하면서 재개발사업이 사실상 무산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31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외미마을은 한국전쟁 직후 형성된 자연부락으로 회룡역과 환승 공영주차 빌딩을 사이에 두고 인접했다. 2만298㎡에 세입자를 포함한 222세대가 살고 있으나 실제는 90여 가구 정도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80년대만 해도 주변은 논밭이었으나 회룡역이 들어선 뒤 상가와 아파트단지가 형성돼 상권이 가장 활성화된 곳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도로변 상가를 제외하고는 옛모습 그대로다. 대부분 세멘블럭조인 단독주택은 노후도가 80%에 이르고 있다. 일부 주택은 비어 있고 잡초가 무성하다. 마을 안 일부 도로는 차량조차 진입할 수 없을 정도로 비좁은 사도이고 일부는 맹지여서 건축조차 할 수 없다.
한 주민은 “상수도가 지난 90년대 초에서야 들어올 정도로 기반시설이 취약하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토지 등 소유자 98명(총 127명)은 지난 2011년 호원 1구역 조합을 결성하고 재개발 추진에 나서 지난 2015년 11월 26일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받은 뒤 시공사까지 선정했다. 하지만, 토지 등 소유자 127명 중 72명이 조합 불신 등을 이유로 지난해 1월 조합 해산을 신청, 지난해 11월 7일자로 조합 설립인가가 취소됐다.
시가 이달이나 2월 중 도시계획위원회를 소집해 정비구역해제를 의결하면 그동안 조합이 추진해왔던 재개발은 완전히 무산된다. 조합 측이 지난해 12월 조합설립 인가취소가 절차상 문제가 있다며 소송을 제기, 재개발의 불씨는 완전히 꺼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재개발사업이 추진되는 7년 가까이 마을의 신ㆍ증축이 중단된데다 토지 등 소유자들도 건축물에 대한 수선이나 관리를 하지 않고 내버려두면서 빈집이 늘고 슬럼화됐다.
시는 경찰서, 소방서 등과 빈집과 이 마을 일대 순찰을 강화하는 등 방범ㆍ화재예방에 나서고 있다. 한 주민은 “앞으로 재개발을 추진하려면 다시 절차를 밟아야 하는 등 몇 년이 걸릴지 모른다. 이대로 방치하면 앞으로가 더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정비구역이 해제되면 개별적인 신ㆍ증축이 가능해진다. 건축주들이 재산권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돼 슬럼화가 가속화 된다고는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