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는 19일 성명서를 내고 의정부경전철㈜(사업시행자)가 사업재구조화 방안을 받아들였더라면 파산하는 것보다 1천500억 원에 달하는 재정지출을 줄일 수 있었다는 주장은 일방적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사업시행자가 전날 기자회견을 통해 밝힌 내용에 대해 시가 즉시 반박하고 나선 데는 시민들이 오인하면 앞으로 경전철 안정화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사업시행자의 제안을 검토한 PIMAC는 보고서에서 제안을 수용하는 것보다 의정부시가 직영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통보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같은 내용은 협상 시 의정부시가 고려할 사항인 만큼 사업시행자에게는 공개하지 말도록 권고했다고 덧붙였다.
또 의정부시가 사업재구조화 방안을 받아들여 연간 145억 원을 지원하더라도 사업시행자는 앞으로 25.5년간 4천억여 원의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주장은 제안의 타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과다 계상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특히 사업시행자는 2016년 말 누적손실이 4천240억 원이라고 주장하나 2015년 말 회계감사보고서 기준으로 약 3천200억 원으로 이 중 현금 손실은 약 1천억 원이고 나머지 2천200억여 원은 경전철 관리운영권 가치가 감가상각된 비용이라고 설명했다. 또 현금손실 중에서도 600억 원은 금융권에서 차입한 대출원리금을 상환한 금액이고 실제 영업 손실은 400억 원 이하라고 밝혔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사업시행자가 영업상 손실을 감수하며 시민들의 교통편익에 일익을 담당한 것은 인정하지만 마치 시가 막대한 손실을 감수하는 불합리한 결정을 한 것처럼 오인하도록 정보를 알리는 것은 안된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