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경전철 네탓 공방… 시민만 고통

市 “파산신청은 무책임… 법적 대응”
경전철(주) “재구조화 불가, 노력다해”

의정부경전철의 파산신청을 놓고 의정부시와 의정부경전철(주)가 각각 제안한 운영난 타개방안에 대해, 상대 측이 거부해 빚어진 일이라며 책임공방을 벌이고 있다. 이에 애꿎은 시민들만 불편을 겪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8일 의정부시가 의정부경전철(주)에 책임을 묻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낸 데 이어 사업시행자인 의정부경전철(주)도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11일 파산신청에 이르게 된 배경과 이유를 밝히고 시 탓임을 주장했다.

 

의정부시는 사업시행자가 지난 2015년 11월 경영난 타개를 위해 제시한 사업 재구조화 방안인 연간 145억 재정지원 요구에 대해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검토를 거쳐 재정적, 공익적 영향을 고려해 민간투자법을 근거로 운영손실 등 연간 50억 원+α를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업시행자는 50억+α로는 자금 재조달이 곤란하다는 이유를 내세워 거부했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도외시한 채 실시 협약상 30년간 운영 의무를 저버리고 파산을 신청했다고 주장했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대중교통수단을 볼모로 파산신청한 시행자에게 강력한 법적 대응을 하겠다”라며 “또 파산 이후 경전철의 안정화를 위해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의정부경전철(주)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자신들이 제안한 사업 재구조화 방안을 검토한 PIMAC는 협상을 통해 재정부담이 최소화되는 방안으로 재구조화를 추진하라고 권고했지만, 시가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후 시가 운영비 부족액 약 50억 원에 +α를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사업재구조화가 불가능해 파산신청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특히 의정부시가 매년 145억 원을 지원해준다 해도 앞으로 25.5년간 약 4천억 원의 추가손실을 감수하며 운영해야 하는 실정으로 공익에 부합해 이 같은 제안을 했는데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팽광정 의정부경전철(주) 대표는 “그동안 할 수 있는 노력은 다했다. 법원의 판단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