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위기속 단체 외유 양평축협 특별감사를”

전국협동조합노조, 책임추궁 촉구
오늘 서울 정부청사 앞 기자회견

조류 인플루엔자(AI) 발생지역인 양평의 축협 조합장과 조합원들이 단체로 외유(본보 2016년 12월 22일 자 6면)를 다녀온 가운데, 양평축협 노동조합 측이 방역망 허점을 문제로 특별감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10일 전국협동조합노동조합에 따르면 양평축협 조합장과 양계·양돈농가 조합원 부부 16명은 지난해 12월 19∼21일 조합 예산과 일부 자부담으로 베트남으로 단합대회를 다녀왔다.

 

노조는 이에 “AI 경보 위기 상황에서 바이러스와 직접 접촉 가능성이 있는 발생지역 조합장과 양계ㆍ양돈농가가 무더기로 외유를 갔다는 것은 방역망에 심각한 구멍이 뚫렸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당국에 특별감사와 책임추궁 등을 촉구했다.

 

앞서, 양평축협 가맹단체인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은 지난해 12월 2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특별감사를 요청했지만, 농식품부는 이를 농협중앙회에 넘겼다. 농협중앙회는 “지난해 사업계획에 따른 해외연수로, 사업 진행과정에 위법·부당한 사실이 없으나 축산 농가를 포함한 조합원 정서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양평축협 조합장에게 ‘엄중 지도’ 처분만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양평축협 관계자는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면이 있으나 지역 농가 확진 판정 이후 열흘이 지나 진정국면이라고 판단, 지난해 사업계획 일정에 따라 진행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노조는 11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정부 당국의 책임을 촉구하고 양평축협에 대한 특별감사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한편, 양평에선 지난해 12월 8일 육용오리 농가에서 10년 만에 고병원성(H5N6형) AI 확진 판정이 나왔고, 지난 4일에야 지평면, 양평읍, 용문면, 개군면 등 4개 읍·면 25개 농가 이동제한이 해제됐다.

양평=류진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