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인천] 도시의 힘과 그 중심에 선 청년들

▲

‘붉은 닭의 해’로도 불리며 풍요와 다산, 새로운 시작과 시대를 상징한다는 2017년, 정유년이다. 인구 300만 시대의 진면목을 세워야 하는 인천시와 잘 어울리는 해일 텐데, 과연 도시의 활기를 무엇으로 불어넣을까? 새로운 시작과 풍요를 누구와 도모할 수 있을까? ‘청년’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인천의 청년인구는 대략 70만 명을 헤아린다. 청년의 존재 자체가 고령화 인구절벽의 시대를 바꿔낼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강력한 희망이다. 특히 그들이 갖는 사회적 역할·위상은 도시 미래를 좌우하는 지표다. 생각해보라. 청년들이 든든한 허리 역할을 하는 사회, 열정 어린 활동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상상력 가득한 삶터를 만들고 있다면 어느 누가 그 사회와 도시를 암울하게 바라보겠는가!

 

그런데 인천시의 청년정책은 정작 청년의 삶과 꿈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청년을 도시발전의 동력으로도 삼지 못하고 있다. 매우 제한적이고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그간 선보인 청년정책 대부분이 일자리와 관련한 것들이다. 지난 2014년 15~29세 인천지역 청년층의 실업률은 11.9%로 17개 시도 중 2위를 기록했다고 한다. 인천은 청년 실업률에서 유독 전국 평균을 늘 상회한다. 가장 절실하게 해결하고 싶은 정책과제일 것이다.

 

청년들의 호구지책이 해결되면 그다음은 만사형통일까? ‘청년문제=일자리’인가? 청년정책의 구상 과정에서 어느 정도나 청년들을 참여시켰는지, 그들의 의중을 담았는지도 의문이다. 지역사회 구조에서 청년들은 여전히 주변인이며 시혜의 대상으로만 분류되는 듯하다.

 

여러 자리에서 만난 인천지역 청년들의 고충은 일자리의 없음에만 있지 않았다. 그들을 주체로 보지 않고 대상화하는 정책, 변죽만 울리는 시혜성 사업들, 일방적인 의사결정의 과정들, 하루 세끼 밥만으로 청년들의 허기가 달래질 것이라는 기성세대의 편견도 그들을 분노케 했다.

 

지난해 9월 정읍에서 열린 마을 만들기 전국행사에서 청년 세션이 특별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청년의 조직화와 참여가 마을 만들기의 핵심동력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또 서울은 청년들과 전문가가 참여한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수십 차례 개최된 청년정책 컨퍼런스와 토론회 등을 통해 청년활동생태계 조성까지 고려한 ‘2020 청년정책’의 기본이 마련됐다.

 

인천시와 우리 선배 시민들은 청년들이 주체적으로 자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기획자가 될 기회를 주어야 한다. 지역사회 문제를 포함해 청년들의 주도성이 발휘된 ‘청년을 위한, 청년에 의한, 청년들의 사업’이 창안되도록 지원해야 한다.

 

제대로 된 청년조례 하나 없는 인천시의 현실, 청년정책을 담당하는 통합 부서가 없는 행정의 구조를 어떻게 풀지가 우선적인 관건이다. 다행히 인천시의회 몇몇 시의원을 중심으로 ‘인천청년정책연구회’가 운영된다니 반가운 소식이다.

앞서 지난 2년여간 물밑에서 움직이던 청년조직 ‘청년 인천’이 오는 3월이면 공식단체로 모습을 드러낸다. 좌절감 속에 파편화됐던 청년들이 자리와 역할을 스스로 찾아 나섰던 결실이다. 청년, 그들 주도로 문화, 주거, 경제를 말할 것이다. 청년들, 그들이 인천이다!

 

지영일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처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