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 기로에 선 ‘의정부 상권활성화재단’

시의회 “사업 실효성 의문”… 예산 대부분 삭감
전문기관에 필요성 의뢰… 결과 보고 판단키로

의정부 구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해 설립한 의정부시 상권활성화재단(재단)이 출범 2년 만에 존폐 기로에 섰다. 시의회가 6개월치 인건비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업 예산을 삭감했기 때문이다.

 

21일 의정부시와 재단 등에 따르면 지난 2014년 3월 중소기업청이 의정부 구도심을 상권활성화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한 뒤 각종 국비 지원사업을 추진하려고 지난 2014년 10월 재단을 설립해 운영 중이다. 

재단은 그동안 국비 15억 원을 지원받아 경영 개선, 상인 육성, 상권축제 문화사업 개최 등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각종 사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국비 지원이 올해 말로 중단되면서 재단을 해체하거나 시가 출연해 사업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는 지속적으로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보고 내년 예산안에 5억6천500만 원을 편성, 시의회에 심의를 요청했고, 시의회는 최근 직원의 6개월치 인건비 7천700만 원 등 1억3천900만 원을 제외한 사업비 대부분인 4억2천500만 원을 깎았다. 

시의회는 전문 기관에 의뢰, 그동안 재단이 추진한 사업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 추진할 사업에 대해 타당성과 필요성 등을 검증한 뒤 결과를 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시의회 한 의원은 “재단의 대부분 사업이 공무원조직으로 흡수해도 되고 재단 조직이 전문성이 없는 만큼 막대한 인건비를 들여 존치해야 하는 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지역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구도심 상권이 여전히 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어 체계적인 조직을 바탕으로 전략적인 대응과 마케팅 전략 등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송준석 전 의정부지하상가 상인회장은 “재단의 사업 대상범위가 넓고 예산상 시설, 환경개선투자보다 상인교육 등 위주로 사업을 추진하다 보니 실효성 문제가 나오지만, 구도심 상권활성화의 구심체 역할을 하면서 경영개선 등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의정부시 구도심 상권은 행복로를 중심으로 반경 1㎞ 내 제일ㆍ청과야채ㆍ의정부시장 등 재래시장 3곳, 로데오, 녹색거리 등 상점 거리 2곳, 의정부지하상가, 부대찌개 골목 등 2천400여 점포가 밀집돼 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