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구조화 없으면 사업 중단”
연말 안으로 중도해지 가능성
市, 예산 긴축 편성 등 대비
의정부 경전철㈜의 파산이 예상되는 가운데, 사실상 생사여탈권인 의정부시와의 실시협약 중도해지권을 쥔 대주단인 의정부 경전철㈜에 대출을 해준 금융권의 선택이 주목되고 있다.
7일 의정부 경전철㈜ 사업자(이하 사업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민은행, 미래에셋, 농협, 동양생명, 한화생명 5개 금융사로 구성된 대주단은 의정부시와 사업재구조화를 조건으로 사업 시행자에게 실시협약(사업 시행자가 의정부시와 맺은 관리운영권 등) 중도해지권 행사를 연말까지 1년간 유예했다.
대주단은 사업자에게 지난달 말까지 사업 재구조화 진행사항을 통보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면서 사업 재구조화가 가시화되지 않으면 연말까지 실시협약 중도 해지권을 행사하겠다고 예고했다.
앞서, 사업자는 지난 2012년 대주단으로부터 모두 1천744억 원(이자율 평균 5.5%)을 조달받으면서 개통 2년 뒤 이용객이 협약수요의 30% 미달 때는 실시협약 중도해지를 약속했고 지난해 두 번째 유예를 받았었다.
사업자는 지난 9월 초부터 9월29일까지 진행된 모두 6차례의 사업 재구조화 협의 내용을 통보했다. 사업자가 제안한 25년간 연간 145억 원 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재구조화방안을 시가 거절하는 대신, 운영비로 ‘50억 원+α’를 보조해주겠다고 역제안했고, 사업자는 이 같은 운영비 보조로는 사업 재구조화를 진행할 수 없다며 거절했다.
대주단은 이에 실시협약 중도해지권에 명시된 △파산 △청산 또는 해산 결의 △도시건설철도면허 반납과 운행중지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아니면 의정부시의 제안을 받아들여야 한다. 사업자 한 관계자는 “대주단이 어떤 결정을 하든 지시에 따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시의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사업자는 연말 안으로 대주단의 결정이 통보될 것으로 보고 이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정부시도 내년도 예산을 긴축 편성하고 법률, 회계적 자문을 받는 등 파산에 대비하고 있다. 일각에선 극적인 협상타결도 예상하고 있다. 특히, 사업자 제1주주인 GS건설이 국내외 신인도 등을 고려, 파산으로까지 몰고 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민들은 “의정부 경전철은 이미 하루 3만 5천 명 이상이 이용하는 안전하고 정확한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어느 경우든 의정부 경전철은 안정적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