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로 다가온 새누리 분당

비박, 대통령과 완전 결별 요구
친박은 ‘수용 불가’ 입장 고수

여당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ㆍ탈당'을 놓고 분열, 당 해체가 현실화될지 주목된다.

 

새누리당 주류와 비주류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 및 탈당 문제를 놓고 일전을 치를 태세다.

 

집권 여당의 지위까지 걸린 예민한 사안인 만큼 자칫 잘못하면 분당 사태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중대 기로에 선 것이다.

 

당내 비주류 국회의원과 전·현직 광역단체장, 원외 당협위원장 등 80여 명은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비상시국회의를 열어 ‘최순실 게이트’ 검찰 수사 발표에서 박 대통령의 공모 혐의가 적용된 것과 관련해 즉각적인 탄핵소추와 출당 조치를 공식적으로 촉구했다.

 

특히 참석한 현역 의원 35명 중 32명이 탄핵과 출당 조치에 찬성했다. 탄핵안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경우 야당과 무소속 의원 171명과 이들 전원이 찬성표를 던진다면 의결 정족수(200명)를 채우는 셈이다.

 

이는 박 대통령과의 ‘완전한 결별’을 의미하는 동시에 야권과의 사실상 공조를 통해 당내 친박(친박근혜) 주류를 ‘사면초가’의 고립 상태로 만들겠다는 선전포고로 해석된다.

 

특히 박 대통령이 ‘완전한 2선 후퇴’를 계속 거부하고 당 지도부도 사퇴 요구에 저항할 경우 탈당 움직임을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반면 친박 주류는 비주류 측의 이런 움직임에 대해 직설적인 비판은 자제하면서도 비주류의 요구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은 확실히 고수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의원들만이 검찰 발표 내용과 비주류의 요구에 대해 반응을 보였을 뿐 대부분 친박계 의원들은 잠행하며 사태 추이를 지켜보는 분위기다.

 

검찰 수사 발표 내용이 적잖이 충격적인 수준이었던 데다 비주류의 행보 역시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보인 만큼, 일단 ‘태풍’을 피하며 시간을 벌었다가 반격에 나서려는 전략이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이처럼 분당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자 정진석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비교적 계파 색이 엷은 일부 중진들은 이날 오후 회동을 통해 해법을 모색했다.

 

회동에는 정 원내대표 외에 비주류인 김재경·나경원 의원과 주류인 원유철·정우택·홍문종 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회동에서 분당은 막아야 한다는 원칙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방법론을 놓고 의견이 크게 엇갈린 것으로 전해졌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