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천300여 명이 이용하는 평택 송탄터미널의 토지소유 분쟁이 내년 상반기 중 마무리되면서 정상 운영될 전망이다.
18일 평택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새누리당과의 당·정 정책협의회에서 지난 27년간 운영해오다 지난 6월 토지소유자들의 분쟁으로 잠정 폐쇄된 평택시 송탄공용버스터미널 ‘알박기’ 토지에 대해 올해 추경에 9억여 원의 예산을 투입, 매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A사는 지난 2014년 5월 터미널 전체 7개 필지(2천605㎡) 중 주차장 한가운데에 있는 1개 필지(639㎡)를 매입한 후 임대료 인상을 요구하며 바리케이드를 치고 1년여동안 버스의 진·출입을 막아왔다. 이로 인해 시는 지난 6월1일부터 이 버스터미널을 잠정 폐쇄하고 터미널 인근에 있는 부지를 임시 버스정류장으로 운영해 왔다.
시는 올해 안에 7억 원을 투입, 알박기 토지를 매입하고 나머지 토지와 건물 등은 내년 상반기까지 매입 및 임대 등을 통해 터미널을 정상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버스터미널 정상화를 위해 토지소유주들과의 협상이 원만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에 정상운영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989년 건립된 송탄 공영버스터미널은 서울, 대전, 청주, 군산, 인천, 의정부, 강릉, 속초 등 19개 노선(210회 운영)이 운영되고 있으며 1일 1천300여 명이 이용하고 있다.
평택=최해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