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부격차와 환경 문제 극복은 지역화를 통해 가능”…지역화 운동가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초청 강연

제목 없음-1 사본.jpg

화성시와 오산시가 지역 경제의 미래 해법을 찾고자 지역화 운동의 선구자인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를 초청해 특별 강연회를 개최했다.

 

화성시와 오산시는 18일 오후 2시 화성시 유앤아이센터 화성아트홀에서 채인석 화성시장, 곽상욱 오산시장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의 미래와 행복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강연회를 마련했다. 

이날 강연을 맡은 호지 작가는 스웨덴 출신의 언어학자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오래된 미래’와 ‘행복의 경제학’의 저자다. 또 대안적 노벨상인 ‘바른생활상’과 ‘고이평화상’을 수상했다.

 

호지 작가는 이 강연을 통해 “자연과 사회를 파괴하는 ‘세계화’의 경제 논리가 아닌 친환경적이고 인간적인 방향이 중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시민의 지속 가능한 삶을 유지할 지역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단순히 경제 규모를 키우고자 수많은 국가가 규제완화, 자유무역협정 등 세계화를 선택했다”면서 “이 때문에 지금의 빈부격차와 에너지 낭비, 환경오염이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호지 작가는 세계화가 만든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역화’를 강조했다. 지역화란 단순한 고립주의가 아닌 지역 단위의 책임 있고 지속 가능한 경제 활동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영국의 식료품 가게를 예로 들며 생산과 소비의 거리를 좁히는 지역화는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 엑시터의 한 식료품 가게는 99%의 식재료를 지역의 생산물만으로 사용했다”면서 “덕분에 지역의 농부들은 수확물을 충분히 판매할 수 있고, 지역민은 친환경적인 농산물을 섭취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지역화를 위해서는 지역 사회의 관심과 교육이 중요하다”면서 “지역화를 인식한 많은 사람이 연결돼야 세계화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당부했다.

 

한편, 채인석 화성시장은 “화성시의 한 두부공장은 전통방식으로 사람들이 직접 두부를 만들고 있다”면서 “두부의 표면은 거칠어졌지만, 아이들은 믿을 수 있는 친환경 두부를 먹을 수 있고 지역민의 경제권은 향상했다”고 지역화의 필요성을 공감했다.

화성=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