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지역 청소대행업체 독점점폐해 많아… 대행계약 경쟁체제 도입해야

의정부시가 청소대행업체 신규허가를 계기로 청소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더욱 나은 서비스를 위해 청소대행계약을 수의계약에서 경쟁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시는 5일 신규 청소대행업자 선정을 위한 사업계획서 발표회를 갖고 7개 업체 및 개인신청자 중에서 1개를 선정했다. 이에 따라 기존 4개 업체를 포함한 5개 대행업체는 내년 1월1일부터 15개 동을 3개 동씩 분할해 청소를 대행한다. 

시는 내년부터는 그동안 다르게 운영돼 온 공통주택 음식물 수거와 생활폐기물 수거구역을 일치시키고 상시평가시스템을 도입해 업체 간 경쟁을 유도, 청소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그러나 전문용역업체가 매년 산정한 쓰레기수거 비용에 따라 동일한 구역에 같은 업체가 매년 계약을 하는 청소대행 수의계약방식은 그대로 유지할 방침이다. 

이 같은 계약방식은 사실상 짧게는 10여 년씩 지속되는 구역 독점적 구도로, 청소 서비스 질을 떨어뜨리고 인건비 등 재정운영의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지적돼 왔다. 또 재정절감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많아 시의회 행감에서 반복적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장수봉 시의원은 "평가 시스템을 도입해 우수한 업체에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구역을 재조정하는 등 경쟁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청소구역을 3개 동씩 균등하게 조정한 것은 점차적인 경쟁시스템도입을 위한 것이다”며 “우선 수의계약 범위 안에서 경쟁시스템을 도입하고 앞으로 계약 자체를 경쟁체제로 바꿔나갈 방침이다"고 말했다.

의정부= 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