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시와 포천시 사격장 등 군 관련 범대위 등에 따르면 범대위는 이날 오후 3시 국회 정론관에서 사격장 피해현황 및 대책호소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주민안전보장 대책과 그동안 희생에 대한 보상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범대위는 기자회견문에서 “군 관련 시설이 집중된 경기북부 10개 시·군의 사격장 전체면적의 73%가 포천에 있다”며 “아시아 최대인 승진훈련장(18.4㎢)과 국내 유일 미8군 종합사격장인 영평사격장(13.22㎢) 등 사격장 9곳에서 밤낮없이 훈련이 이뤄져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범대위는 또 “포성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은 물론 마을 위로 포탄이 날아다녀 생명의 위협은 물론, 가축이 유산되고 헬기가 학교 상공을 선회하면서 아이들의 학습에 큰 지장을 받고 있다”며 “군산 직도사격장이 3천여억 원의 지원을 받는 것과는 달리 포천은 더 큰 희생에도 아무런 관심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길연 범대위원장은 “2년 전 대책위를 발족하고 수차례 안전대책과 주민피해방지대책을 요구했지만 묵묵부답의 제자리걸음만 되풀이해 사격장 폐쇄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가시적인 대책을 내놔 한미동맹에 금이 가지 않도록 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포천주민들은 영중·창수면 일대 미군 영평사격장에서 포병·전차·헬기 사격이 이뤄지며 지난 1년 동안에만 6차례 포탄이 민가에 떨어지는 등 사고가 빈발하자 고통을 호소하며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국방부와 미군은 헬기 비행고도 상향조정, 도비탄 사고를 막기 위한 피탄지 보강, 사격횟수 축소 등 대책을 제시했지만 주민들은 300여 일간 1인 시위를 벌이는 등 사격장 폐쇄를 요구하며 여전히 반발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은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이 마련한 것으로, 민천식 시장 권한대행 등 시 관계자와 시의원, 범대위 이길연 위원장 등 주민 30여 명이 참석했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