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수질오염총량 관리를 위해 영평천에 대해 지속적인 수질 모니터링 실시

나쁨수준으로 나온 외북천에 대해 5개과 합동으로 특단 대책마련

포천시가 갈수록 오염이 심화되는 하천 수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수질오염총량제의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주요 하천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 하천 수질개선사업에 중요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4일 포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5월부터 영평천 8개 지점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영평천에 영향을 끼치는 지류 하천을 파악하고, 외북천 상류, 수입천(포천천, 외북천)과 영평천 합류후 등 5개 지점을 추가로 지정, 지난달까지 매월 1회 수질모니터링을 실시해 왔다.

 

조사항목은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SS), 총유기탄소량(TOC), 총질소(T-N), 총인(T-P), 클로로필-a(chl-a) 등 7개 항목이다.

 

하천 수질 모니터링 결과 수질오염총량제의 주요 지표인 BOD는 영평천 상류와 수입천 하류는 좋음(Ib), 포천천 하류는 약간 나쁨(IV), 외북천 하류는 매우 나쁨(VI) 그리고 영평천 하류는 보통(III) 등급으로 조사됐다. 또 총인(T-P)의 경우 영평천 상류는 좋음(Ib), 수입천 하류, 포천천 하류 및 영평천 하류는 약간 좋음(II), 외북천 하류는 보통(III) 등급으로 외북천의 수질오염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외북천의 수질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말 ‘영평A 단위유역 내 외북천 수질개선사업 추진 계획’을 수립, 지난달까지 중·하류 약 8㎞ 구간에 대해 주변 오염물질 배출원 조사를 환경관리과, 청소자원과 등 5개과 합동으로 실시했다. 특히 수질모니터링 지점 확대 및 유속감소, 퇴적물 증가의 원인이 되는 취입보에 대한 현황을 파악, 철거 및 개보수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시 환경관리과 이병현 과장은 “수질오염총량제의 주요 단위유역인 영평A의 목표수질 준수를 위해 하천 수질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 하천의 오염원 확인 및 오염원 저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외북천을 살리기 위해 상류(심곡저수지)부터 영평천 합류지점(영중하수종말처리장) 사이 모든 기업과 축사에 수질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