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와 의정부경전철㈜이 사업재구조화를 놓고 오늘부터 머리를 맞댄다.
의정부경전철은 앞으로 20년간 매년 최소 145억 원을 요구하고 있는데 반해 가용재원이 연간 120억 정도에 불과한 시는 지원한계가 분명해 치열한 수 싸움이 예상된다.
양측 모두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은 경전철이 멈추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데는 뜻을 같이 하지만, 파산까지를 염두에 두고 있어 협상은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사업재구조화 방안에 대해 9월부터 대화를 하자고 의정부경전철㈜에 통보했다고 31일 밝혔다. 공공투자관리센터(피맥)로부터 의정부경전철㈜의 사업재구조화 방안 타당성 검토결과를 지난 17일 통보 받은 뒤 10여일 만이다. 시는 앞으로 협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피맥이 통보한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앞서 의정부경전철㈜은 지난해 11월 협약해지 때 시가 일시 지급(지난해 말 기준)해야 하는 2천500억 원의 90%를 20년간 균등 지급(145억 원)하는 제한적 비용보전을 내용으로 하는 사업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했다. 시가 이를 수용하면 자금 재조달 등 경전철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피맥은 경전철의 경영상황에 대해 ‘추가적인 재원투입없이는 정상운영이 어렵다’고 판단하면서도 ‘재정적 지원 여부는 공익 등 다각적 검토를 해 주무관청(의정부시)이 판단해 결정할 사항이다”고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피맥으로부터 결과를 통보받은 시는 자체적으로 법률적, 회계적 검토를 하면서 의정부경전철㈜의 파산까지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시 관계자는 “지원규모도 문제지만 지원한다 해도 공익적 명분을 확보해야 한다”며 “경전철의 경영난 타개에 지원했을 때 공익과 사익이 충돌하는 만큼 특혜시비 등도 우려된다”고 밝혀 고민이 적지 않음을 내비쳤다.
의정부경전철㈜ 관계자는 “연말까지 재구조화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출자자, 대주단의 의견을 따를 수밖에 없다. 더는 버티기가 힘들다”고 밝혔다.
의정부= 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