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의회가 시 행정조직의 전문·세분화에 따른 상임위원회 신설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상임위가 신설되면 일하는 의회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와 함께 전문성 확보와 업무추진비 지급 등의 이유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28일 여주시의회에 따르면 최근 박재영 시의원이 제안한 ‘여주시의회 상임위 설치 관련 추진 계획’ 검토 보고서가 시의회에 제출, 상임위 신설을 예고했다.
상임위 신설은 80일 정도의 임시회와 정례회를 제외한 기간에 상임위 활동을 통해 일상적인 의정 활동을 펼쳐 ‘일하는 의회 상’을 정립해 나가기 위해 추진된다. 법적 구속력을 가진 상임위를 구성하면 상시적 활동으로 깊이 있는 심의와 시기를 바라는 부분에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시의원들의 능력 향상을 통해 전문성을 키울 수 있다고 시의회는 분석했다.
여주시의회는 상임위 설치를 위해 다음달 중으로 의원간 협의를 진행, 전체 의원이 찬성하면 오는 10월 조례를 개정하고 12월 상임위 활동을 위한 인력 증원과 상임위 구성 및 예산 확보 등 순서를 진행할 계획이다.
시청의 행정조직 환경변화에 맞춰 현행 3개국이 형태로 상임위원회를 신설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여주시청 안전행정복지국과 경제개발국, 창조도시사업국이 최근 신설되면서 시의회는 3개국 형태의 상임위 신설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총 7명의 의원 중 의장을 제외한 6명의 의원이 각 상임위 별로 동일하게 들어갈 수밖에 없어 전문성을 담보할 수 있냐는 지적과 월 81만원의 상임위원장의 업무추진비가 추가 지원된다는 이유에서다.
박재영 시의원은 “상임위가 신설되면 의사진행이 신속해지고 의원별 업무 분담량이 적어 세밀하고 심도 있는 행정실무를 심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여주시의회는 의원 정수가 7명으로, 전국에서 41개 시ㆍ군이 7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 중 5개 시군이 상임위를 신설해 활동 중이다. 경기도는 의원 7명으로 구성된 10개 시ㆍ군 중에 구리시가 유일하게 상임위를 구성해 활동하고 있다.
여주=류진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