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잡는 ‘이케아 서랍장’ 때문에… 인천 가구업체 불똥 우려

정부, 국내 유통 서랍장 안전성 조사 착수
가구업계, 안전한 서랍장까지 무차별적 조사 불만의 목소리
이구동성 “안전기준 강화가 근본 해결책”… 이미지 타격 우려

최근 논란이 되는 ‘이케아 서랍장 사고’와 관련해 정부가 국내 유통 중인 서랍장 안전성 조사에 나서겠다고 하자 불똥을 맞게 된 인천 가구 제조업체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국내 유통 중인 수입·국산 서랍장 안전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조사항목은 안전기준에 규정한 유해물질 안전요건 외에, 이번에 문제가 된 전도(앞으로 넘어짐) 시험 안전요건을 추가한다.

 

국가표준기술원은 위해 사실이 확인되면 바로 수거 명령 등을 내릴 방침이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으로 불똥을 맞게 된 인천지역 가구업체들은 ‘조사보다 안전기준 강화가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서랍장 관련 안전사고를 예방하겠다는 뜻에는 동의하지만, 현 상황에서 안전성 조사를 해 봤자 크게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인천 A 중견 가구 제조업체 관계자는 “메이커 서랍장은 언더 레일을 설치해 서랍이 완전히 열리지 않게 하는 등 무게 중심을 고려해 설계한다”며 “다른 서랍장까지 무작정 조사하는 게 근본 해결책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B 가구 제조업 관계자는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서랍장 무게와 깊이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사를 하면 기본 규격도 못지키는 서랍장들만 적발될 것”이라고 했다.

 

안전 기준을 전반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가구에 대한 제품 기준은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 방출량과 국가통합인증(KC) 정도다.

 

극가표준(KS)에는 전도 시험을 평가하는 항목이 있지만 국가통합인증은 현재 전도 시험을 하지 않고 있다.

 

인천가구협동조합의 한 조합원은 “레일을 저가로 쓰던가, 서랍 바닥 굵기나 깊이가 적당하지 않으면 국내 서랍장도 아이가 위에 올라가면 넘어지는 건 마찬가지”라며 “국가통합인증에서 안전성 검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향후 소비자와 가구업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강화된 안전기준을 마련해 국내에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에서는 서랍장이 넘어지면서 영유아가 다치는 사고는 있었지만 사망사고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