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복지사각지대 해소 노력 결과 나타나

복지, 도 평균치보다 높고 31개 시군 가운데 5위

포천시가 기존의 미흡한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보완, 생계ㆍ의료ㆍ주거ㆍ교육 등 수급자의 필요에 따라 지급하는 ‘맞춤형 급여제도’가 순항을 하고 있다.

 

26일 시에 따르면 기존의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가구에 통합된 급여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준에 충족되면 모든 급여를 지원하고, 미충족 시에는 모든 급여가 한꺼번에 중단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시는 맞춤형 급여제도로 전환했다. 이 제도는 그동안 최저생계비 이하 가구에 통합된 급여를 지급하던 방식에서 상대적 빈곤개념인 중위 소득개념을 도입, 급여별로 선정기준을 세분화한 것이다.

 

그 결과 맞춤형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5천935명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또한, 올 6월 말 기준 도내 31개 시군 인구수 대비 수급자수 평균 비율이 34.09%인데 비해 시는 43.77%로 5번째로 높았다.

 

더불어 맞춤형 급여제도 도입 이후 생계급여 지급액도 85만1649천 원에서 114만4천967천원으로 월 평균 34% 증가했으며, 신규책정자수도 211명에서 628명으로 33% 늘었다. 반면 책정 제외 건수는 255건에서 161건으로 58% 감소했다.

 

시민복지과 이인화 과장은 “맞춤형 급여제도가 안정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도 보호를 받지 못하는 저소득층 복지사각지대가 있다”며 “이들의 복지가 해소될 때까지 대상자 발굴 및 지속적인 사업 추진 및 홍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