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국가공기업, 성과연봉제 협상 난항…최종 데드라인 연장

인천지역 국가공기업 노사가 성과연봉제를 두고 막판까지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인천항만공사는 중앙정부가 제시한 최종시한(4월 29일)까지 결론을 내지 못하고 오는 2일 논의를 재개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가 당초 4월 29일까지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는 공공기관에만 행·재정적 혜택을 주기로 했다가 최종시한까지 전국 상당수 공기업과 공공기관이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하자 2일까지로 기한을 늘렸다.

 

중앙정부는 현재 전국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근무 성과에 따라 연봉을 차등 지급하는 ‘성과연봉제’를 밀어붙이고 있다. 4월 말까지 노사합의를 끝내고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는 공공기관에는 월급의 50%, 경영평가 가점 등 혜택을 주기로 한 바 있다.

 

현재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성과연봉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중앙정부 방침에 맞춰 등급별 차등 폭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그러나 노조의 반대가 심해 최종시한까지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인천항만공사도 비슷한 상황이다. 인천항만공사는 현재 1·2급을 대상으로 성과연봉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노사합의를 거쳐 3급까지 적용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항만공사 노조는 성과연봉제가 처우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반대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나 인천항만공사 입장에서는 성과연봉제 협상이 절실하다. 공항공사의 경우 올해 초 수화물 사고와 보안사고가 발생했고, 인천항만공사 역시 보안사고 등 악재가 겹쳤다. 세계적인 경기불황으로 물동량 감소 영향을 무시하기도 어렵다.

 

이 때문에 올해 경영평가에서 양 공기업이 모두 좋은 점수를 받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비상경영체제를 선언하고 고삐를 죄고 있는 인천공항공사나 하위권을 예상하는 인천항만공사 등은 성과연봉제 도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와 관련,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노사간 견해차를 줄이고자 노력했으나 최종시한(4월29일)을 맞추지 못했다”며 “협상이 수월하게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2일까지는 결론을 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