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통령 7명이 심은 나무들
박정희 은행나무·노무현 주목 등
성품·국정 방향 등 짐작 가능해
포천 국립수목원에는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해 박정희~이명박 등 역대 대통령 7명이 심은 나무가 자라고 있다.
‘대통령 나무’로 불리는 이들 나무를 보면 대통령의 성품과 재임 기간 중점을 둔 국정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고 해 주목을 받고 있다.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70년 식목일에 대통령 가운데 처음으로 국립수목원(당시 광릉시험림)에 14년생 은행나무 한 그루를 심었다. 은행나무는 ‘공손수(公孫樹)’로도 불린다.나무를 심은 뒤 80∼150년 뒤에야 열매를 맺고 풍성해져 손자와 그 후대를 위해 심는 나무라는 의미다.
전두환 전 대통령 1980년 11월 첫째 토요일로 지정된 육림의 날에 30년생 독일가문비(소나무과)를, 1987년에는 25년생 반송을 각각 심었다. 검푸른 독일가문비는 우뚝 솟은 모습이 군인의 위용을 닮았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1989년 식목일에 20년생 분비나무(소나무과)를 심었다. 우량 목재 생산과 다양한 용도의 목재를 생산할 수 있는 신품종의 육성을 강조했다.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많은 나무를 심었다. 땅파기를 가장 잘했던 대통령으로 수목원 직원들은 기억하고 있다. 1994년 식목일에 27년생 반송 한그루를 심었다.
반송은 독일가문비와 분비나무처럼 위로 뻗지 않고 줄기 밑동에서 굵은 가지가 10∼30 갈래로 퍼져 나와 우산 모양을 한다. 3년 뒤인 1997년에는 5년생 전나무와 잣나무를 기념식수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2년 식목일 국민의 마음을 담은 ‘산림헌장’을 새긴 비석을 제막하면서 이희호 여사와 함께 강원도 평창에서 가져온 17년생 금강소나무(금강송)를 심었다. 금강송은 숭례문과 광화문 복원에 사용될 정도로 소나무 가운데 우량 품종이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임기를 9개월가량 앞둔 2007년 5월 권양숙 여사와 함께 28년 된 높이 3.5m짜리 주목 한그루를 심었다. 평소 산림관리와 임업 발전, 나무 등 식물에 관심이 많고 전문가 수준으로 알려져 식목일과 관계없이 국립수목원을 방문해 주목을 심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12년 식목일에 맞춰 황금색 주목을 기념식수했다. 1985년 씨를 뿌려 자란 이 주목은 2009년 6월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에 ‘금빛노을’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신품종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3년 식목일 특산식물인 30년생 구상나무(소나무과)를 심었다.
포천= 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