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안전 학교급식 안산네트워크, "안전한 공공급식 지원 조례 제정하라"

오는 11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발생 5년째를 앞두고 방사성 물질 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공공급식 지원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10일 방사능 안전 학교급식 안산네트워크는 논평을 통해 “후쿠시마 사고를 계기로 전 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핵발전에서 벗어나는 길을 채택하고 있다”며 “유럽의 경우 독일, 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 등이 탈핵을 결정했고 아시아에서도 대만이 98%의 공정률의 신규 핵발전소 건설을 중단시키는 결정을 이끌어 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오히려 핵발전소 확대를 멈추지 않고 있으며 지난 2011년 21기였던 핵발전소는 신고리 2ㆍ3호기, 신월성 1ㆍ2호기가 추가됐고 시운전 중인 신고리 3호기까지 더해 오해 25기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특히 수명이 만료된 월성1호기는 안전성 미확보 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수명연장이 강행돼 가동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안산네트워크는 “핵으로 인한 고통과 비극을 멈추는 유일한 방법은 핵발전을 멈추고 태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탈핵의 길 밖에 없다”며 “정부와 경기도 그리고 안산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진다는 차원에서 관계법령을 하루속히 정비해 예산과 인력이 수반되는 탈핵 정책과 재생에너지 정책을 실시할 것을 요구한다” 주장했다.

 

특히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불신은 수산물 전반에 대한 불신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정부당국은 일본 수산물에 대한 전면적인 수입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일본의 8개현 지역의 수산물에 대한 수입 금지 등의 미온적 조치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이들은 최소한 어린이와 청소년이 매일 먹는 급식만이라도 방사능 오염의 위협으로부터 지키고자 ‘안산시 방사성 물질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공공급식 지원을 위한 조례’ 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와 관련 네트워크 관계자는 “아직도 재앙이 진행 중인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미래의 주역인 아이들이 먹거리 불안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도록 어른들의 책무를 다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