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전면 중단
지난 7일 개성공단 상주인원 축소 방침이 발표된 지 사흘 만에 전면 중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으로, 입주기업들이 겪을 후폭풍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거래처와의 신뢰도 저하 등 기업들의 유ㆍ무형적 손실이 수천억원에 달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 “피해 최소화 할 시간도 없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지난 2013년 개성공단 가동 중단 악몽에서 헤어나오기 전에 또다시 전면 중단에 놓이면서 망연자실한 표정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A업체 대표는 “앞서 개성공단 인원 축소 발표가 나오면서 설마 설마 했는데, 이렇게 갑작스레 가동 중단으로 이어질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다”면서 “이 위기를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지 막막하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개성공단입주기업협회는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 방침을 이날 오후 2시에 홍용표 통일부 장관과 면담한 자리에서야 알 수 있었다며 반발했다.
정기섭 개성공단입주기업협회 회장은 “폐쇄 조치를 전면 재고해 줄 것을 요청한다”면서 “기업에 피해를 최소화할 시간도 주지 않고 전면 중단을 결정하고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지난 2013년 사태 이후 개성공단 재가동 합의 시 어떤 경우에도 정세 영향을 받지 않고 남북정부가 개성공단을 운영하겠다고 공표한 바 있다”며 “갑작스런 이번 조치는 기업으로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16개 기업과 직원 80여명이 상주해 있는 인천지역 개성공단 입주기업도 우려를 표명했다. 조경주 인천개성공단입주기업협의회회장은 “통일부가 13일까지 개성공단 내 인원과 물품을 모두 빼달라고 해서 여유가 없는 상태로, 미리 주문받았던 물품의 납품기일은 거의 맞추기 어렵다고 봐야한다”면서 “공장 안에 있는 물건들도 제대로 갖고 나올 수 있을 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 지금 중요한 것은 당장 눈앞에 발생할 피해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라고 불안감을 드러냈다.
■ 중기, 새로운 시장 개척 ‘찬물’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에 따라 입주기업들의 경제적 손실도 불가피해졌다. 현지투자액, 원청업체 납품채무 등 당장의 손실은 물론 거래처 신뢰도 하락 등 미래 영업손실은 최소 수천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게 관련 업계의 주장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B사 관계자는 “지난 2013년에도 거래처와의 관계가 단절돼 회복되지 않고 있는데 이번에는 더 심각한 상황에 놓일 것 같다”고 우려했다.
특히 북한 측이 개성공단내 설비, 원자재, 부품 반출 등을 막는 경우 기업들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남북경협보험을 통해 손실액의 90% 범위에서 최대 70억원을 입주업체에 지원하고 있으나, 기업들은 충분하지 못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구나 공단 운영이 재개될 시 보험금을 반납해야 해 이 또한 부담으로 작용된다.
기업 관련 업계에서는 남북경협이 회복하기 어려운 길로 들어섰다는 분석마저 제기하고 있다. 한 중소기업단체 관계자는 “새로운 시장으로 북한 진출을 생각하던 중소기업에는 찬물을 끼얹는 일”이라며 “남북관계가 개선돼 개성공단이 재가동 하더라도 어떤 기업이 리스크를 안고 다시 입주하겠는가. 이번 조치로 사실상 남북경협은 사라졌다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미경ㆍ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