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카페] 문화융성 위해 패러다임 변화를 기대하는 문화재단들

‘문화융성’은 지금 우리에게 얼마만큼 다가와 있는가? 정부는 지역문화 발전과 생활 속 문화 확산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강도 높게 ‘문화 융성’을 외쳤고, 그에 걸맞은 과감한 문화정책을 펼쳐왔다.

 

문제는 체감온도다. 아무래도 지금 현재, 그 온기가 썩 신통치 않은 것 같다. 물론 세월호나 메르스 같은 미증유의 사건사고가 있었지만 그럴 때마다 문화의 힘으로 이겨내야 한다는 응원이 더 컸다. 하지만 어쨌든 지금 이 순간, 이 땅 구석구석에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고 있는 사람들에게 문화는 문화로 다가가지 못하고 있다. 그저 ‘문화융성’의 구호만 들릴 뿐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그럴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로 하향식 지원정책을 지적해왔다. 물론 정부는 국민과 지역이 주도하는 상향식, 생활밀착형 정책을 새로운 문화정책의 틀로 삼겠다고 했지만 현실적으로 지금까지의 방식인 하향식 지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만큼 패러다임의 변화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다행히 얼마 전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역문화진흥법 제정과 이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전국의 지자체에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렇게 지역의 특성을 담아 작성된 상향식 계획안은 정부가 원하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문화융성’을 위해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또다시 드러나는 아쉬움은 안타깝게도 지금까지 지적되어온 문제점이 그대로 반복된다는 사실이다. 기본계획을 실질적으로 수행해야 할 주체가 배제된 채 진행되는 결과물은 결과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간과한 하향식 지원정책이 되어 돌아올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서 작금의 과정에 성공적인 ‘문화융성’과 국민의 만남을 실질적으로 이어줄 연결고리가 배제되어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한 중앙과 광역 지원단체의 하향식 지원 방식은 문화예술인 및 단체들에게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이 땅 곳곳 사람들의 삶 속으로 다가가기는 어렵다. 더구나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문화라는 모내기 작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현재 전국에 50개의 기초재단이 지역민들과 함께 ‘문화융성’을 위한 모내기의 기회를 기다리고 있다. 지역의 재단들은 그 지역민들이 어떤 문화를 원하는지 어떤 문화가 필요한지 또 어떻게 해야 ‘문화융성’이 성공할 수 있는지 잘 알고 있는 전문기관이다. 

그렇게 때문에 경쟁을 통해서든 협의를 통해서든 정부의 ‘문화융성’ 정책이라는 테이블에서 함께 논의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전국 지역문화재단들은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의 이름으로 소통하면서 ‘문화융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개발하고 있다.

그럼에도 그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가 정부의 문화정책 테이블 위에 올려질 기회나 방법이 없다는 사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다행인 것은 경기도의 경우, 경기도문화재단협의회가 운영되고 있는데, 지난 회의에서 경기도 지역부터라도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해 함께 협의하고 노력하자는 공동선언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경기문화재단과 경기도내 기초자치단체 소속의 문화재단 13곳이 모여 경기문화를 위해 소통하고 있는 경기도문화재단협의회의 이러한 모습이야말로 타 지역에서 예상하지 못한 바람직한 현상일 것이다. 이에 경기도문화재단협의회의 소통의 결과물도 정부의 정책과 만날 기회가 있기를 바란다.

 

이렇게 지금 이 순간에도 정부의 ‘문화융성’ 혜택을 받지 못한 채, ‘문화융성’을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곳이 생각보다 많다. 문제는 소통과 협력 그리고 패러다임의 변화이다.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는 지금까지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한 ‘문화융성’의 성공적 결실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김혁수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 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