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원·송산 행정복지센터, 제3의 장소에 설치 찾기 어렵고
사전 홍보도 제대로 안 돼 업무혼선 등 주민 항의 잇따라
의정부시 호원, 송산 권역 책임동제가 시민들의 업무혼선, 책임동사무소 방문 불편 등으로 현장밀착형 행정서비스 강화란 본래의 취지를 퇴색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17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일부터 호원1·2동과 송산1·2동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고 이중 하나를 책임동으로 지정해 자치 민원, 복지지원, 주거환경과를 신설, 시청으로부터 위임받은 사무를 책임동장이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처리하는 책임동제를 실시하고 있다.
시민들은 행정복지센터라고 불리는 책임동에서 그동안 본청까지 방문해 처리해야 했던 복지서비스, 인허가 및 각종 생활민원 등 100여 업무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행정서비스 만족도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호원, 송산 권역 모두 행정복지센터(책임동사무소)를 행자부 지침과 달리 기존 주민센터가 아닌 제3의 장소에 설치하면서 주민들이 행정복지센터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기존 주민센터를 행정복지센터로 착각하는 등 혼선을 빚고 있다. 이와는 달리 의정부시와 같은 시기에 책임동제를 하는 경기도 광주시, 남양주시와 세종시 등은 모두 기존 사무소에 행정복지센터를 마련해 업무를 보고 있다.
행자부도 최근 의정부시 책임동 현장점검을 통해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정부시는 또 위임된 사무에 대해서도 사전 홍보를 제대로 하지 않다가 이달 들어서야 홍보물을 만들어 주민들에게 배포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이 위임된 업무를 알지 못해 본청을 방문했다가 다시 책임동을 찾는 일이 빈발하고 항의가 잇따르고 있다.
호원2동 한 주민은 “최근 건축허가를 내러 시청을 방문했다가 6층 이하 연면적 2천㎡ 이하 건축허가는 책임동으로 위임됐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특히 행정복지센터 정원의 10~20%가 결원으로 현장 행정서비스를 위한 기본적인 인력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다.
행정복지센터 한 실무자는 “11명 정원의 복지지원과에 결원이 2명이다. 무려 34가지의 업무숙지도 어려운데 인원까지 부족해 부담이 크다”고 하소연했다.
이에 대해 책임동의 한 간부는 “실시 초기라 약간의 혼선이 있다. 문제점을 보완하고 시간이 지나면 주민들이 책임동의 행정서비스에 만족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