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2020년까지 300억 투입 차부품기업 육성
생태R&D시설·고려대 융합대학원 등도 유치 구상
안산시가 정부의 지역균형 발전 계획에 따라 지방으로 이전이 확정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하 해양기술원)’ 부지를 매입, 자동차 안전부품 인증시험평가센터 및 생태 R&D 시설, 융합대학원 등의 유치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시 및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지난 1986년 상록구 사동 1270일대 9만2천938㎡에 독립건물로 신축 이전했던 해양기술원이 지난 2009년 10월 정부의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에 따라 부산 영도구 동삼혁신지구로의 이전이 최종 승인됐다.
그러나 부동산경기 침체 등으로 부지 매각(대금 1천억원)이 14차례에 걸쳐 무응찰 유찰되면서 지난해 2월까지 이전하기로 했던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시는 해양기술원 이전 부지의 50%를 매입(500억원)하고 나머지 50%는 정부에서 매입해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이곳에 오는 2020년까지 총 300억원가량의 예산(국비ㆍ지방비)을 들여 안산스마트허브 자동차부품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자동차 안전부품 인증시험평가센터’ 유치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경기TP 등과 함께 경기창조센터와 유사한 연구시설은 물론 다양한 기술과 품질 등을 인증할 수 있는 융합시설과 생산기술연구, 이를 홍보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갖춘 생태 R&D 시설 유치도 구상하고 있다. 이밖에도 시는 나머지 50% 부지에 고려대 융합대학원 유치를 위해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한양대 약대와 중국 청도의 해양대학 등도 이 부지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해양기술원의 지방 이전이 불가피하지만 기술원이 당초 안산에 본원을 둔 이유를 감안한다면 분원 형태의 연구시설이 필요하다”며 “이전 부지지에 대해서는 지역발전에 필요한 시설을 유치하는데 초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단체 등은 해양기술원이 이전할 경우 해양관련 국가사업이 특정 지역에 편중될 뿐 아니라 인근 거제도의 남해분원의 기능이 중첩,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정책의 취지에 어긋나고 중국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로 서해의 대기와 생태 환경이 수시로 변화하는 만큼 이를 감시할 수 있는 해양기술원 분원만이라도 존치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