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고덕~서안성 송전선로 건설 갈등 심화 ‘입지선정위원회’ 결국 뿔뿔이 흩어져

이견 못좁혀 해단 결정 한전, 주민과 직접 협의키로

제목 없음-1 사본.jpg
▲ 평택고덕-서안성 송전선로 건설사업과 관련 8일 안성시 원곡면, 양성면 주민 70여명이 수원 한국전력공사 경기건설지사 앞에서 송전탑 설치가 아닌 전구간
지중화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김시범기자
평택 고덕-서안성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둘러싸고 한전 및 지자체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입지선정위원회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해단하기로 결정했다.

평택고덕-서안성 송전설로 건설사업 입지선정위원회는 8일 한국전력공사 경기건설지사에서 6차 회의를 열고 위원들 동의를 거쳐 위원회 운영을 종료하기로 했다.

당초 이날 회의를 통해 지금까지 논의된 경과지(안성시~용인시~평택시 경유)를 가지고 최종 입지를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위원 간 의견 대립으로 더 이상 위원회에서는 입지 결정이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지선정위는 한전이 송전선로 건설사업 최적지 결정을 위해 지난해 11월 구성한 것으로, 평택·용인·안성 지역주민과 지자체 및 한전 관계자, 설계용역회사 등 전문가들이 속해 있다. 그러나 수차례의 회의에도 지역 간 이해관계에 따른 첨예한 대립이 계속돼 왔다.

이처럼 입지선정위 운영이 종료됨에 따라 한전은 현재까지 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선로 인근 주민들과 직접 협의해 입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주민대표 및 지자체, 한전의 지속적 협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를 통한 경과지 선정이 어렵게 돼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주민수용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경과지가 선정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안성시 원곡면, 양성면 주민 70여명은 회의장을 찾아 사업 전 구간을 45번 국도를 이용해 지중화할 것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는다면 송전탑 설치를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며 “시와 시의회, 시민 전체가 하나되어 강력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안성시의회 이영찬 산업건설위원장과 김지수 위원도 회의장을 찾아 “안성의 송전선로 지상화 건설 반대는 지역 이기주의가 아니다”며 “결국 안성만 희생되고 안성시민의 생존 경쟁이 달린 문제”라고 강조했다.  

평택=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