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택고덕-서안성 송전선로 건설사업과 관련 8일 안성시 원곡면, 양성면 주민 70여명이 수원 한국전력공사 경기건설지사 앞에서 송전탑 설치가 아닌 전구간
지중화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김시범기자
평택 고덕-서안성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둘러싸고 한전 및 지자체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입지선정위원회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해단하기로 결정했다.
평택고덕-서안성 송전설로 건설사업 입지선정위원회는 8일 한국전력공사 경기건설지사에서 6차 회의를 열고 위원들 동의를 거쳐 위원회 운영을 종료하기로 했다.
당초 이날 회의를 통해 지금까지 논의된 경과지(안성시~용인시~평택시 경유)를 가지고 최종 입지를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위원 간 의견 대립으로 더 이상 위원회에서는 입지 결정이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지선정위는 한전이 송전선로 건설사업 최적지 결정을 위해 지난해 11월 구성한 것으로, 평택·용인·안성 지역주민과 지자체 및 한전 관계자, 설계용역회사 등 전문가들이 속해 있다. 그러나 수차례의 회의에도 지역 간 이해관계에 따른 첨예한 대립이 계속돼 왔다.
이처럼 입지선정위 운영이 종료됨에 따라 한전은 현재까지 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선로 인근 주민들과 직접 협의해 입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주민대표 및 지자체, 한전의 지속적 협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를 통한 경과지 선정이 어렵게 돼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주민수용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경과지가 선정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안성시 원곡면, 양성면 주민 70여명은 회의장을 찾아 사업 전 구간을 45번 국도를 이용해 지중화할 것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는다면 송전탑 설치를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며 “시와 시의회, 시민 전체가 하나되어 강력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안성시의회 이영찬 산업건설위원장과 김지수 위원도 회의장을 찾아 “안성의 송전선로 지상화 건설 반대는 지역 이기주의가 아니다”며 “결국 안성만 희생되고 안성시민의 생존 경쟁이 달린 문제”라고 강조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