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미군 유류저장소 부지 정화 ‘실마리’ 보인다

구리~포천고속도로 현장 정화토 성토재 사용 제안 주한미군이전사업단 검토

군사시설 기준에 맞춰 오염정화가 이뤄져 개발이 제한적인 의정부 금오동 미군 유류저장소 부지의 추가 정화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기미다.

구리~포천 간 고속도로 현장이 유류저장소 정화토를 성토재로 사용하겠다고 제안하고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단이 검토에 나섰기 때문이다.

23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오염정화를 마친 금오동 131-9번지 일원 7만4천730㎡의 옛 미군 유류기지 땅에 대해 추가 정화를 놓고 개발주체인 시와 토지주인 국방부의 입장이 맞서고 있다.

시는 토양환경보전법상 오염대책 기준 3지역(공장, 주차장, 도로, 군사시설) 정화로는 이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주거용지, 공원 등 모든 용도의 개발이 가능하도록 1지역으로 해줄 것을 정화 시작때부터 국방부에 요구했다.

그러나 국방부는 해당시설이 군사시설이란 이유로 3지역 기준에 맞춰 유류저장소 땅을 굴착해 비닐하우스에서 약품처리를 해 정화하는 방식으로 정화를 했고, 추가 정화는 개발계획이 수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국방부는 그동안 정화에 100억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된데다 1지역으로 정화하려면 200억원 이상 예산이 필요해 난감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구리~포천 간 고속도로 현장에서 3지역 기준으로 정화처리한 유류저장소 흙을 도로포장 성토재로 사용하겠다는 제안이 최근 시에 들어왔다. 구리-포천 간 고속도로현장에서는 성토재로 200만루베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만일 구리-포천 간 고속도로 현장에서 유류기지 정화토를 사용한다면 1지역으로 추가정화하는 문제가 적은 예산으로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시와 주한 미군기지 사업단관계자는 지난 21일 이 문제를 협의하고 검토에 들어갔다.

시 관계자는 “유류기지 일대를 도시개발사업지구로 지정하거나 사전에 국방부와 개발협약을 맺는 등 추가정화를 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한편, 유류저장소는 1970년부터 미군이 사용하다 1992년 한국군에 반환됐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