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의심 환자 관련 출입국관리소 무방비

결핵 감염 의심환자가 출입국관리소를 자유자재로 드나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극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명연 새누리당 의원(안산단원갑)은 결핵 잠복기 환자나 감염 의심환자에 대해서 공항, 항만 등 출입국관리소에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는 사실을 지적했다 13일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매년 3만명 이상이 결핵에 새롭게 감염되고 2천명 이상이 결핵으로 사망하는데도 질병관리본부는 감염경로 추적은 커녕 출입국관리소에서 아무런 조치를 취한 사실이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결핵균의 경우 감염이 공기 중 호흡기를 통해 많은 사람들을 감염시키는 위력을 지녀 출입국 통제가 되지 않으면 국제적인 마찰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거듭 지적했다.

이에 따라서 잠복기 환자와 의심 환자에 대해서는 출입국관리소에서 철저히 통제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을 얻고 있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는 국민생활의 불편과 인권침해의 우려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 그동안 출입국 통제를 망설여 왔다.

이에 김 의원은 “메르스를 겪으면서 국민들이 엄청나게 불안해하고 이로 인해 국가위기 상태까지 내몰리는 것을 보고도 결핵을 방치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고 못 박았다.

김 의원은 또 결핵의 감염 경로를 찾을 수 있도록 학교 및 병원 등 집단 발병지를 넘어 감염자 이동 경로까지 역학조사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결핵은 최대 48m까지 떨어진 사람에게도 감염시키는 속성을 갖고 있어 감염자 이동 경로 파악이 결핵확산을 막는데 필수적이라고 김 의원은 주장했다.

이와 함께 전액 국비로 진행되던 보건소 결핵균 검사와 결핵 노숙인관리시설 지원예산이 지자체 5:5매칭사업으로 전환된 것을 다시 전액 국비로 전환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