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24개 읍면동 9개 책임읍면동제 개편 주민들 “지구단위계획에 포함… 변경 안돼”
화성시가 기존 소규모 읍면동을 통합한 ‘책임읍면동제’를 추진하자 동탄신도시 주민들이 “분양 당시 약속한 동탄구청 신설 약속을 이행하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10일 시 등에 따르면 행정자치부 지침에 따라 내년 2월까지 구청을 신설하는 대신 인구 7만명과 면적 120만㎢ 이상을 기준으로, 현 24개 읍면동을 9개 책임읍면동으로 통합 개편하기 위해 지난 7일부터 17일까지 24개 읍면동에서 통리장, 주민자치위원, 사회단체장을 대상으로 책임읍면동제 주민설명회를 열고 통합 당위성 등을 설명하고 있다.
시는 송산과 마도, 서신면을 묶어 송산대면(2만5천명, 128.9㎢), 매송과 비봉, 남양읍을 남양대읍(4만1천명, 132.2㎢), 우정과 장안읍을 우정대읍(2만9천명, 127.4㎢), 팔탄과 향남, 양감면을 향남대읍(8만7천명, 132.1㎢)으로 각각 통합할 예정이다.
또 화산과 기배동, 정남면을 화산기배정남행정동(8만명, 56.5㎢), 장안과 병점12동, 안녕동을 병점12동진안반월행정동(12만명, 13.5㎢), 동탄123동을 동탄동 행정동(15만명,9.4㎢), 동탄면과 동탄4동을 동탄4행정동(28만명, 46.1㎢) 등으로 통합 개편할 계획이다.
책임읍면동제가 시행되면 행정서비스가 보다 주민 가까이에서 이뤄져 행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책임읍면동제를 시행하면 주민 밀착형 행정서비스가 가능하고 구청사 건설비 900억원도 절감할 수 있는 점을 반대 주민들에게 설명, 설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동탄신도시 총입주자연합회는 “동탄구청 신설은 2013년 채인석 시장이 시의회 시정설명에서 약속했으며, 지구단위계획에도 포함된 내용”이라며 “이제와서 구청신설 계획을 변경하는 것은 주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반발했다.
총연합회 최병규 회장은 “시가 조직 연구용역 진단에 앞서 주민설명회를 먼저 여는 것도 이해할 수 없다”면서 “타당성 있는 연구결과가 없는데 통리장과 주민자치위원 등 몇명을 모아놓고 설명하는 것이 소통행정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동탄신도시 주민들이 이같이 독립적인 동탄구청 신설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동탄신도시의 이미지 구축과 더불어 위상제고에 대한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화성=강인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