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시민사회단체, 환경오염 등 이유 중단 요구 GS E&R “무산땐 법적대응… 市에 책임 묻겠다”
포천시 신북면 장자산업단지내 건설되는 석탄발전소를 두고 포천시가 진퇴양난에 빠졌다.
시의회와 시민사회단체들이 석탄발전소를 저지하기 위한 범시민연대를 구성, 석탄발전소를 건립 추진에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고 석탄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GS E&R 측은 석탄발전소 건립이 무산되면 시에 법적대응을 통해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3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장자산업단지는 포천지역에 난립한 섬유·가죽 등 염색 가공업체의 집단화를 위해 지난 2009년부터 조성 중인 곳으로, GS E&R 측은 이곳에 5천400억원을 투자해 700t급 발전용 보일러와 160㎿급 증기터빈을 갖춘 집단에너지시설을 올해 착공해 오는 2018년 3월 완공할 예정이다.
그러나 주민 및 시민사회단체들은 석탄발전소 건설을 즉각 중단하고 LNG발전소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장자석탄발전소 반대 범시민연대는 “당초 장자산단 조성목적이 환경오염을 개선하기 위한 것인데, 조성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석탄발전소는 즉각 반려돼야 한다”면서 “집단에너지사업이 입주기업의 열 공급을 위한 것인데, 산업단지 반경 1㎞ 내에 생활쓰레기 소각장에서 1일 223t의 쓰레기가 소각되고 있고, 인근 에코그린산업단지에서도 1일 360t 규모의 소각로가 건설돼 석탄발전소를 추진하지 않아도 입주기업의 열 공급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의회 행정조사특별위원회도 이달 중 산업통상자원부를 상대로 장자산업단지 석탄발전소 인허가 취소 소송에 나설 예정이다.
이에 대해 GS E&R 측은 “석탄발전소로 허가를 받았고 석탄발전소로 인허가가 진행됐기 때문에 석탄발전소 사업을 포기할 수 없으며, 주민들의 요구하는 LNG발전소로의 전환은 사업성이 없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는다”며 “석탄발전소가 무산되면 시에 법적 대응을 통해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당초에는 LNG발전소를 추진했지만, 기존 입주업체들이 비용 부담 등을 이유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석탄을 선택했으며, 주민 동의 절차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며 “(석탄발전소가 가동되면)80개의 굴뚝이 없어져 지금보다 대기 환경이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포천=윤승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