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수목원이 광복 70년을 맞아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영문명을 새롭게 정리했다.
국립수목원은 10일 지난 1년 동안 한반도 자생식물 4천173종의 영문 일반명을 재검토하고 수정해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을 제작해 배포한다고 밝혔다.
식물의 ‘학명’은 세계가 공식적으로 쓰는 라틴어 이름으로 국제 식물 명명 규약에 따라 바꿀 수 없지만 일반명은 각 나라에서 식물에 붙인 이름으로 한 종에 여러 이름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수목원은 한반도가 식물분포의 중심지임에도 다른 국가명이 쓰이거나 우리나라에서만 사는 특산식물과 우리 문화·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식물을 조사했다.
이번 목록집에서 소나무의 영문 일반명인 ‘재패니즈 레드 파인’을 ‘코리아 레드파인’으로 바로 잡았다. 또 조경수로 인기가 높은 단풍나무는 잎 모양이 손바닥과 비슷하다는 점에 착안해 ‘팔메이트 메이플’(Palmate maple)로 수정했다.
단풍나무는 한국과 일본에 함께 분포하지만 그동안 ‘재패니즈 메이플’(Japanese maple)로 불렸다. 아울러 한국의 문화와 밀접한 개나리는 ‘코리안 골든벨 트리’(Korean goldenbell tree)로 불렸으나 이번에 한글명을 그대로 영어로 음역해 ‘Gaenari’로 바꿨다.
국립수목원 관계자는 “이름은 단순한 명칭이 아니라 민족의 문화와 역사, 식물이 가진 가치를 포함하는 상징이기 때문에 올바른 영문 이름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일상에서 쓰기 어려운 학명과 달리 일반명은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식물의 일반명이 사람들의 인식 속에 식물주권으로 뿌리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포천=윤승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