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액연봉 교수 줄여야” vs “돈으로 구조개혁 안돼” 팽팽
인천대학교가 교직원 명예퇴직 수당을 3배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해 논란(본보 15일 자 1면)을 빚는 가운데 이사회에서 안건을 올린 대학 측과 이를 반대하는 일부 이사의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인천대는 21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2015년도 제3차 정기이사회를 열고 집행부가 올린 교직원 명예퇴직 수당을 인상하는 내용을 담은 ‘인천대 교직원 명예퇴직수당 지급규정 제정(안)’을 논의했다.
대학 측은 이날 이사들을 상대로 교직원 명예퇴직 수당을 인상해야 하는 이유 등을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대학 측은 “고액 연봉을 받는 만 60세 이상 교수가 92명에 달한다.
명예퇴직 수당을 인상해 이들 고액연봉자가 명예퇴직하고, 자연스레 연봉이 비교적 적은 신입 교수들이 충원되면 예산이 절감될 수 있다”면서 “특히 연구실적 등이 없는 고액연봉 교수가 퇴출되고, 능력 있는 젊은 교수가 수혈되면 연구실적 등이 향상돼 학교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교육부와 인천시 등 일부 이사는 이 같은 대학의 논리에 대해 ‘당근(돈)만 있고, 채찍(평가)은 없다’고 일축했다.
한 이사는 “현재 정년을 앞둔 공무원이 성과가 없거나 실적이 부족하면 무조건 돈(명예퇴직 수당)을 많이 쥐여주고 내보내지 않는다. 철저히 공무원을 평가해 임금피크제 등을 적용하는 게 현 정부의 기조다”라며 “이처럼 돈 퍼주기 식으로 구조개혁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이사는 “대학 측의 명예퇴직 계획도 굉장히 주먹구구식이다. 3년 동안 몇 명을 어떤 방법으로 명예퇴직 조치할 것인지, 자금 확보는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전혀 없다”면서 “일부 명예퇴직을 신청한 직원을 위해 선심성으로 급하게 추진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고 강조했다.
결국 이사회는 대학 측의 명예퇴직 수당 인상 방안이 합리적이지 않다며 차후 이사회의 의견이 모두 담긴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올 것을 주문했다.
이에 대해 인천대의 한 관계자는 “서로 입장과 논리가 달라 입장 차가 있었다”면서 “이사회에서 나온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