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뮴·납 등 오염물질 검출 김포시-조사기관간 입장차 주민·환경단체 등 거센 반발
주물공장 등의 오염물질로 인해 환경 피해를 본 김포시 대곶면 거물대리·초원지리 일대의 역학조사를 둘러싸고 김포시와 용역 조사 기관의 입장이 크게 엇갈려 역학조사가 중단됐다.
이에 주민들과 환경단체는 일방적인 조사 중단이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김포시는 용역을 수행 중인 인하대 산학협력단이 지난 3월 발표한 용역 중간조사 내용에 대해 공인기관에서 교차분석을 벌인 결과 용역 기관과 공인 기관의 조사결과가 큰 차이를 보였다고 2일 밝혔다.
용역기관의 검사에서는 이들 지역 토양에서 니켈 276.2㎎/㎏, 납 305.6㎎/㎏이 검출됐으나, 공인기관 조사에서는 니켈 33.6㎎/㎏, 납 23.3㎎/㎏이 검출됐다. 작물시료 결과도 용역기관 검사에서는 카드뮴 0.06㎎/㎏, 납 0.12㎎/㎏으로 나왔지만 공인기관 조사에서는 카드뮴과 납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이처럼 조사 결과가 10배 이상의 차이를 보임에 따라 김포시는 용역기관에 공동 재검증을 요청했으나 용역기관이 이를 거부해 조사를 일시 중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김포환경피해공동대책위원회와 환경정의는 이날 오전 김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포시가 주민대표와 관련 전문가, 관이 공동 참여하는 공대위와 협의없이 일방적으로 2단계 정밀 역학조사를 중지시켰다”며 “역학조사의 결과를 조속히 공개하고 조사결과의 검증, 조사기간의 연장 등을 공대위를 통해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해 5월 시작한 2단계 정밀환경역학조사를 올 6월 완료 예정이었지만, 최근 주민대표나 역학조사팀과의 면담도 거부하는 등 역학조사에 대한 거부감과 불편함을 숨기지 않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용역중지를 통보한 것은 피해의 실체가 확인된 역학조사 결과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공대위는 특히 “용역기관 역학조사팀은 부실함이 있는지 검증하고 추가 조사의 필요성이 인정될 경우 이를 수용하겠다고 밝히고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요구했지만 김포시는 이를 거절했다”며 “시는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검증이 필요하다고 핑계를 대고 있지만 이는 조사결과를 부정하기 위한 구실을 찾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불만을 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교차분석 결과에 대한 정밀 검증절차를 거쳐 9월말까지는 용역을 마치겠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