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해평마을 한강신도시서 제외 軍과 1년 가까이 협의점 못찾아 군시설물 이전 촉구 집회 예고
군 작전상을 이유로 김포한강신도시의 개발에서 제외되면서 낙후된 생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양촌읍 누산리 일원 ‘해평마을’ 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국가권익위원회가 중재에 나섰지만 군 입장에 밀려 1년 가까이 협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시와 주민 등에 따르면 해평마을 주민들은 사유재산에 60년간 무단 설치된 군 시설물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는 재산권 회복을 위해 26일 주민대책위 출정식을 갖고 국방부와 합참 등에 군 시설물 이전을 촉구하는 집회에 나설 계획이다.
이들 주민들은 지난해 6월 양촌읍 누산리 332일대 10만㎡에 이르는 사유지에 설치된 교통호 등 50여곳의 군 시설물로 권익위에 도움을 청했지만 1년 가까이 합의를 이끌어 내지 못하고 있다.
이 마을은 국도 48선을 따라 한강신도시와 직선거리로 불과 800여m 거리를 두고 있는 50여세대 200여명이 거주하고 있는 자연부락으로 한강신도시 개발계획 발표 당시 신도시에 포함됐다 뒤늦게 신도시에서 제척됐다.
그러다 ‘2020 김포시도시기본계획’에 시가화예정용지(누산지구)로 지정되면서 주민들은 2013년부터 이 마을 29만6천779㎡를 민간도시개발사업으로 개발하기 위해 관할 군부대와 협의에 나서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업지구내 교통호 등의 시설을 사업지역 최전방 외곽에 배치하고 현대화시설로 진지를 구축하겠다는 조건마저 전투수행 저해 등을 내세운 군 논리에 막혀 사업진척을 보지 못했다.
이영길 대책위원장은 “한강신도시 개발 등으로 60년 전과 다르게 주변 여건이 바뀌었는데도 작전 환경이 변화돼야 작전계획 변경을 통해 요구를 들어줄 수 있다는데, 이게 말이 되냐”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주민이 바라보는 시각과 달리 작전성이 높은 중요지역으로 종전의 입장과 달라진 게 없다”며 “다만 현재 상급부대에서 작전성 등을 심의 중으로 결과에 따라 판단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