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잎 아름다운 영혼을 위한 소나타’ 전시회 가진 김초희 교수
‘나에게 꽃잎은 떨어져 나가 금방 시들어 버리게 하는 안타까운 것들이다. 그리고 나는 그것을 만들려고 한다-작가노트 중’
꽃잎이 떨어지는 찰나의 순간을 영원(永遠)한 이미지로 화폭에 담아내는 화가가 있다. 꽃잎처럼 여린 감성을 캐치해 찬연한 이미지로 드로잉하는 김초희씨(인덕대 외래교수·하남시 미사동·37)가 그 주인공으로 지난달 15일~22일까지 서울아산병원 갤러리에서 ‘꽃잎 아름다운 영혼을 위한 소나타’라는 주제로 13번째 개인 전시회를 가졌다.
서양화(10점)를 비롯 도자류(25점), 조각(12점) 등 총 50여 점을 선보인 전시는 여러 조형방법을 통해 꽃의 이미지를 관람객에게 각인시켰다.
그가 이렇게 꽃에 집착(?)하게 된 이유는 뭘까. 김씨는 “꽃잎이 떨어지는 일은 거대한 우주에서 아주 사소한 일이지만, 그것이 떨어지는 순간에 대한 인상은 많은 의미를 내포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또래에 비해 감수성이 크다는 말을 들었다.
공상하는 시간을 좋아해 상상했던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겨 자연스레 미술대학에 진학 후 예술가의 길로 접어들었다”라고 설명했다.
김씨의 롤모델은 대학시절 우연히 접한 마르크 샤갈((Marc Chagall). 피카소와 함께 20세기 최고의 화가로 불리는 샤갈의 작품 속 공간을 날아다니는 행복한 형상들과 색채감은 가슴에 감동으로 다가왔다. 그림 안에서 영혼과 탄생을 느낀 순간이었다.
또 한용운의 시(詩) ‘해당화’도 결정적으로 꽃을 모티브로 창작세계를 펼 수 있는 터닝 포인트가 됐다.
아름다운 작품을 넘어 위안과 감동을 통해 행복을 선물코자 노력하는 김씨의 작품은 현재 동덕여대 박물관과 노암갤러리, 한국전력 등에 소장, 전시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