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 대한 대책을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새누리당 김명연 국회의원(안산단원갑)은 2일 메르스 전염병에 대한 보건당국의 초기대응 문제점을 강하게 지적하며 종합적인 대책을 주문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메르스 및 탄저균 대책 긴급 당정협의’에 참석, “환자의 검체를 일주일이 지나서 수거하는 등 보건당국과 의료기관의 초기대응이 매우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메르스 환자가 최초로 확진 판정을 받은 5월20일 이후 12일 만에 18명이나 발병한 것은 정부의 초기대응이 완전히 실패했다”고 질타한 뒤 “정부가 기존의 논문만 의존, 메르스의 전염성이 그리 크지 않다고 오판함으로써 최초 확진 감염자를 자가 격리 조치하는 등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한 것이 확산을 키워왔다”고 분석했다.
김 의원은 또 신종 전염병에 대한 대응 매뉴얼을 폭넓게 적용하는 등 전면적인 매뉴얼 검토를 정부 측에 요구한 뒤 우리나라 전염병 관리는 신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국민 교육과 홍보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고 의견도 함께 제시했다.
이 날 당정협의에서는 김 의원이 제시한 의견을 포함 △신종 전염병에 대한 대응 매뉴얼의 전면적 검토 △전염병에 관한 제대로 된 국민 교육과 홍보 시스템 구비 △국가 지정 격리 병상의 권역별 세분화 통한 이동 경로 최소화 등 보건당국이 신속히 시행해야 할 대책들이 제기됐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