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LH 사업비 갈등… 장기도서관 건립 ‘미적미적’

국·도비 40억 중 24억 확보실패 市 “미확보액도 부담하라”
LH “감당안되면 규모 줄여야”

김포한강신도시에 건립될 장기도서관과 관련 김포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부담액을 둘러싸고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 사업추진이 지지부진하다.

6일 시와 LH 등에 따르면 지난 2007년 LH가 건립해 시에 기부채납키로 한 장기도서관은 2011년 감사원 기관감사에서 ‘도서관 건립 책임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있다’는 지적에 따라 LH가 건립계획을 철회했다. 하지만 2012년 국민권익위원회 권고로 건립논의가 다시 시작됐다.

이에 따라 이듬해인 2013년엔 ‘김포한강신도시 활성화 지원’을 명분으로 시와 LH가 현안사항의 처리방안을 합의하면서 장기도서관에 대해 전체 사업비 140억원중 시가 국·도비 40억원을 확보해 자체적으로 시행하되 사업비 부족분(시비) 100억여원은 LH가 지원키로 하고 그해 말까지 협약을 체결키로 했다. 하지만 LH가 협약체결을 차일피일 미루면서 8년여동안 표류해 왔다.

이런 가운데 LH가 장기도서관 사업비 지원을 전향적으로 검토하면서 시는 지난 1월 설계공모에 나선데 이어 3월에는 당선작을 확정하고 지난달에는 실시설계에 착수하는 등 사업추진에 활기를 띠었다. 하지만 시가 40억원의 국ㆍ도비중 24억원의 도비확보에 실패하면서 이번엔 LH의 부담액 규모가 발목을 잡고 있다.

시는 현재 국ㆍ도비 40억원중 16억원의 국비만 확보하거나 내시된 상태로 원래 장기도서관은 LH가 건립해 시에 기부채납키로 한 만큼 도비 미확보액 24억원도 LH가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LH는 2013년 합의사항을 내세워 시가 확보키로 한 40억원의 국ㆍ도비는 시가 감당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특히 LH는 장기도서관은 감사원 감사에서 지적돼 지원을 할 수 없는 사안이었지만 국민권익위 권고로 진행된 만큼 시에서도 최소한의 노력은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LH 관계자는 “시가 계획하고 있는 장기도서관 건립계획을 보면 3.3㎡당 880만원 규모다”며 “도비가 없더라도 확보된 국비와 LH 부담액을 합하면 통상적인 낙찰률을 감안할 때 충분히 가능하고 그게 안된다면 규모를 줄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장기도서관은 당초 김포한강신도시 개발계획에 반영된 사안으로, LH가 전액 부담해 건립해야 하는 것”이라며 “시가 최선을 다해 국비 16억원을 확보한 만큼 미확보된 도비 24억원은 LH가 부담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