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안성시 사회복지協 기부금·기부물품 ‘위법 분배’

독지가 “믿었던 도끼에 발등”

“곪았던 것이 결국 터진 겁니다. 경찰도 못 믿겠고 안성시 조사도 중단될까 신뢰를 못하겠습니다”

최근 본보가 안성시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부금 및 기부물품의 부실한 장부 작성과 위법적인 분배문제를 집중 보도하자 일부 기업과 독지가들이 보인 반응이다.

협의회의 전직회장과 간부가 검ㆍ경 산하단체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기에 우려를 나타낸 것이기도 하지만 이번에 스스로 개혁하지 않으면 정말 신뢰를 잃을 수도 있다는 주문이기도 하다.

협의회는 우선 기부물품이 누굴 위한 것이었는지 깊게 생각해 보길 바란다. 우리 사회 곳곳에는 삶에 찌들고 생계에 어려움을 이겨내지 못한 이웃이 많다. 그만큼 사회의 도움 손길을 절실하다.

가진 것이 없기에 부끄러운 일부 가족들은 누구에게 도움을 청하기도 전에 동반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까지 하고 쪽방에서 가족도 없이 병에 걸려 외롭고 쓸쓸하게 생을 마감하는 노인과 장애인들도 적지 않다. 이들에게 독지가나 기업들이 기부한 물품이 투명하게 전달되지 않고 정부 지원금을 받는 재단과 요양원에 전달됐다면 어느 누가 수용할 수 있을까?

본보 보도 후 시민들의 제보가 잇따라 취재를 하는 기자는 ‘멘탈이 붕괴’될 정도였다. 협의회가 기부물품을 협의회 이사로 있는 요양원과 시설, 정치계를 떠나 복지원을 운영하는 곳에 수년간 물품을 배분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기부물품으로 협의회와 요양원, 시설, 복지원 등이 그들만의 잔치를 벌였다는 의구심이 뇌리에서 떠나질 않았다.

그래서 아쉬움이 남는다. 복지회는 유통기한의 문제를 얘기하지만 그래도 고기 한 조각이라도 먹고 싶은 소외계층에게 전달됐으면 하는 생각은 지울 수가 없다.

또 ‘등록이 안 되거나 회비를 안 내면 물품을 안 준다’는 B단체의 제보를 받았을 때에는 정말 누구를 위한 협의회인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다시금 주문하고자 한다. 협의회는 스스로 자신을 되돌아 보는 성찰이 필요하다. 협의회가 누굴 위해 존재하는지, 협의회로 말미암아 어려운 이웃이 서러움을 받지는 않는지 말이다.

안성=박석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