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충격적인 자료를 발표했다.
성폭력 발생율과 인구밀도, 범죄취약 여성 구성비 등을 토대로 전국 251개 시·군·구별 성범죄위험도 지수를 산출했더니, 수원 팔달구의 강간 위험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를 접하고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부끄럽게도 이 결과는 새삼스럽지 않다. 2012년 오원춘 사건이 발생했을 때도 전문가들이 팔달구를 비롯해 전국 우범지역에 대한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실시했었다.
그 결과 잔혹한 연쇄 범행은 △주거지 35.34㎞ 이내 △교통로에 바짝 붙은 후미진 지역 △저개발 지구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지리적 여건상 팔달구는 강력범이 범죄를 저지르기에 가장 적합한 공간이라는 것이다.
국회의원이 되기 전 검사로 20여 년을 일하며 범죄와 싸워왔다. 이런 팔달구의 치안 사정을 너무나 잘 알기에, 작년 7·30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자마자 ‘팔달경찰서 신설’을 최우선 역점사업으로 추진했다.
여러 강력사건 이후 순찰과 CCTV를 늘렸다고 하지만 팔달구 풍경은 달라진 게 없다. 미로처럼 얽힌 골목길에, 여전히 불빛이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가 수두룩하다. 2~3m 앞에서 뭐가 나타날지 알 수 없어 순찰하는 경찰조차도 긴장이 된다 하니, 일반 주민들의 불안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한 달 전에도 매교동에서 또 성폭행 사건이 발생했다는 뉴스가 들렸다.
팔달구의 단독주택 비율은 25.6%로 수원의 4개 구 중 가장 높다. 장안구(14%), 권선구(15.8%), 영통구(4.2%)와의 격차도 크다. 공동주택도 아파트보다 다세대 주택이 많아 치안력이 침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팔달구에서 작년에만 1만 7천438건의 범죄가 발생했다.
경기도 평균(9천875건)의 약 두 배에 이르는 숫자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치안수요가 가장 높은 팔달구에만 경찰서가 없다. 나머지 세 개 구에 있는 서부· 중부·남부 경찰서에서 팔달구를 나눠 관할하고 있다. 아무래도 관리에 빈틈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다.
경찰도 팔달구 치안수요를 감당하기 벅차 나머지 세 개 구의 치안 관리에 집중하기 힘들다. 팔달구에 경찰서가 없기 때문에 수원시 전체의 치안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수원시 경찰관 1인당 담당인구는 720명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전국 평균 485명). 그래서 팔달경찰서 신설은 팔달구민뿐 아니라, 수원시민 전체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문제다.
1년에 경찰서 신설 후보지로 선정되는 곳이 전국에 단 한 곳이다.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기까지는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중앙정부를 설득해야 한다. 경찰서 유치전에 뛰어든 지자체가 용인·평택·수원 등 경기도만 벌써 세 곳이다.
지난해부터 경찰청에 경찰서 증설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고, 2월 임시국회에서는 대정부 질문을 통해 이완구 국무총리에게 팔달경찰서의 유치 필요성을 알렸다. 총리는 이례적으로 “성의를 다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긍정적 답변을 내놨다.
지난 19일에는 범시민기구로 구성된 ‘팔달경찰서 유치위원회’가 발대식을 갖고 활동에 들어갔다. 발대식을 찾은 1천여 명 시민들의 눈빛 하나하나에서 제발 안전하게 살고 싶다는 간절함이 읽혔다. 팔달경찰서 유치는 쉬운 일이 아니지만, 반드시 이뤄내야만 하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선 125만 수원시민이 하나가 되어 서명운동에 동참해야 한다. 강간 위험도 1위가 아니라, 안전도시 1위로 뉴스에 나올 수 있도록 ‘위기를 기회로’ 바꿀 때다. 앞으로 팔달경찰서 유치에 내 모든 역량과 열정을 쏟아부으려 한다. 팔달경찰서 신설은 안전도시 수원으로 가는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범죄와의 전쟁’은 시작됐다.
김용남 국회의원(새누리당•수원병)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