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하구 람사르 등록, 기회로 살려야”

정하영 김포시의원 “환경부 규제 없어… 되레 경제적 효과”

김포시가 환경부의 한강하구 람사르 등록에 대해 공식 반대의견을 낸 가운데 시의회에서 김포를 평화생태도시로 새롭게 디자인하는 계기를 마련키 위해 람사르 등록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일 김포시의회에 따르면 정하영 의원은 지난달 30일 제154회 김포시의회 임시회 2차본회의 5분발언에서 “환경부가 람사르 등록을 추진하고자 하는 김포시 구간은 대부분 군사철책선 내 하천부지에 위치하고 있어 일반적인 개발행위가 이뤄질 수 없는 지역이며 2006년 습지지정으로 자연환경보존법에 의해 300m의 자연경관영향 협의대상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환경부도 람사르등록으로 규제 발생은 전혀 없으며 어로행위, 영농행위, 치수사업 등은 기존대로 허용하고 오히려 지역의 브랜드 가치향상, 방문객 증가, 람사르와 연계한 지역발전사업이 활발해질 수 있다며 창녕 우포늪과 순천만의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순천만은 2006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후 람사르 효과로 인해 300만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으며 창녕 우포늪은 람사르습지 등록 이후 연간 80만명이 찾고 있고 190억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 의원은 “한강하구의 람사르 등록을 또 하나의 규제로 인식하기보다는 군사시설보호법과 습지지정 등으로 규제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에게 찾아온 기회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며 “이를 통해 북부지역 주민들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포시는 지난해 10월 환경부의 람사르등록 계획에 대해 “신곡수중보와 교량, 운하건설 등으로 쌓여가는 퇴적층으로 인한 육지화 현상에 대한 원인 규명과 준설 등 한강을 되살리는 게 먼저”라며 반대입장을 제시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