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개 조합… 80여명 도전 예상 예비후보 등록·토론·연설회 없어 ‘현직 조합장’에게 유리 논란 속 벌써부터 ‘과열·불법선거’ 우려
올해 처음 농협·수협·산림조합장을 동시에 뽑는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 선거’가 50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운동에 제약이 많고 ‘깜깜이 선거’가 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시 선거관리위원회는 오는 3월 11일 시행되는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를 통해 농협과 수협, 산림조합 등 21개 조합장을 선출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현재 선거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예비후보만 70~80명으로 점쳐지고 있어 평균 4대의 1의 경쟁구도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선거 유권자도 3만 5천여 명 규모다.
이 때문에 자칫 혼탁양상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조합장선거는 그동안 금품수수나 향응제공 등 혼탁선거의 대명사라고 할 정도로 불신을 받고 있는데다 처음 치르는 동시선거인 만큼 편법이나 불법 선거운동이 난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국동시조합장 선거는 전국지방선거나 총선 등과 달리 예비후보 등록 등의 절차 없이 바로 본 선거로 들어간다. 정식 후보등록은 2월 24~25일이며, 선거운동기간은 2월26일부터 선거 전날인 3월10일까지 13일간이다.
그러나 선거운동은 선거운동원 등을 동원할 수 없고 후보자 본인만 할 수 있다. 또 후보자 토론회나 연설회 없이 선거공보 배부, 선거벽보, 어깨띠, 전화 및 문자 선거운동, 인터넷 선거운동, 공개장소에서 명함배부 등의 선거운동만 할 수 있도록 제약이 돼 있다.
조합장 선거를 준비 중인 예비후보들은 현 조합장이 ‘현역 프리미엄’을 앞세워 절대적으로 유리한 선거가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인이 조합장 선거를 준비하고 있는지를 공개할 수 있는 것도 후보자 등록을 하기 전에는 불가능한 탓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후보자들 사이에서는 공식 선거운동기간이 되기도 전에 선거운동을 시작하거나 상대방을 비방하는 등 과열양상이 감지되고 있다.
인천지역 선관위는 벌써 사전 선거운동 등으로 후보자 3명에게 경고조치를 내렸으며, 검·경도 각종 첩보를 입수해 일부 예비후보자를 내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지역 조합원들도 선거정보가 너무 부족하다는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한 조합원은 “벙어리 선거나 냉동고 선거라고 해도 될 정도”라며 “한 조합을 이끌어갈 장을 뽑는 선거인데 설명회나 공개토론회가 없다면 그냥 얼굴 아는 사람 뽑는 수준의 선거가 될 것”이라며 우려했다.
강화지역 농협의 한 예비후보는 “몇 주 동안에 이름을 알려 조합장이 되겠다는 생각은 어불성설”이라며 “조합장을 하겠다는 사람은 얼마나 오랫동안 조합원들 속으로 스며들어 갔느냐로 평가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