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단 10년 ‘동두천시립합창단’ 존폐위기

시의회, 운영비·지원금 전액 삭감 합창 단원 절반 외지인 등 이유
예술계 “의회, 지역문화 창달 역행”

동두천시립합창단이 창단 10년 만에 해체위기에 놓여 논란이 일고 있다.

동두천시의회가 2015년 시립합창단 운영비와 공연지원금 등의 예산을 전액 삭감했기 때문이다.

1일 동두천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의회는 지난달 19일 제247회 제2차 정례회 5차 본회의를 열어 집행부가 제출한 2015년도 시립합창단 운영 및 지원금과 공연비 2억8천530만원 모두를 삭감했다.

의회는 이와 관련 “합창단원의 50%가 관내 지역주민이 아닌 외지인으로 구성된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또 “합창단원들의 연간 연습량 등 공연활동에 비해 지급액수가 많고 예산대비 효율성이 떨어져 낭비적 요인이 크다”며 삭감의 주된 배경을 설명했다.

2004년 9월 창단된 동두천시립합창단 소속 예술단원 40명은 월 40만원에서 110만원까지 연간 2억3천640만원의 기본급여를 지급받아 왔다. 여기에 연 1회 정기연주회와 연 3회 찾아가는 음악회를 통해 총 3천500여만원의 보상금을 따로 받았다.

의회의 이같은 결정으로 해체를 선택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인 합창단은 큰 충격에 빠졌다.

지역 예술계 역시 의회의 전액삭감 결정은 지역문화 창달과 시민들의 욕구충족을 외면하는 처사로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창단 이래 정기연주회와 찾아가는 음악회, 외부초청연주 등 총 100회가 넘는 연주회를 개최하고 여수세계박람회와 개천절 경축식 국가행사에 참여하며 시의 명예를 드높이고 지역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아왔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문제점에 대한 개선의 기회조차 주지 않고 10년이상을 공들여 이룩한 성과마저 무시하며 단칼에 합창단을 해체시키는 것은 지나치다는 것이다.

게다가 해체될 경우 창단 이후 많은 예산을 들여 구입한 악기와 의상 등이 사장되면서 또다른 예산낭비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이에 시와 합창단은 운영 전반에 걸친 개선방안을 마련, 이를 바탕으로 추경을 통해 삭감예산의 일부라도 확보한다는 방침이어서 합창단 존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철행 합창단 지휘자는 “예술단체는 단순한 경제적 논리로만 접근해선 안 된다”며 “가뜩이나 문화공연이 부족한 동두천에 시립합창단이 해체되는 것만큼은 막아야 한다는 점을 유념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동두천=송진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