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리가 국내 최초로 천연가스차량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계량화한 ‘천연가스차량 도입 사업에 대한 방법론’을 개발, 지난달 에너지관리공단의 평가위원회 상정을 거쳐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그동안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천연가스차량의 온실가스 감축효과에 대한 일부 논란이 있어 왔으나, 이번에 삼천리가 개발한 방법론이 국가 승인을 완료함에 따라 논란에 대한 종지부를 찍게 됐다.
삼천리는 여객운수 용도로 사용되는 천연가스차량을 분석함으로써 이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계량화했다.
경유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하는 경우, 연료특성에 따라 국토해양부에 고시된 교통수단별 온실가스 배출계수 기준 약 17.5%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추가적으로 각 버스의 운행형태, 연비차이에 따라 실제 연료사용량을 기준으로 최종적인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실제 시내직행좌석형 버스의 경우 한대당 연간 약 5천850kgCO2의 온실가스가 감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년생 소나무 2천 그루를 심은 것과 같은 효과에 해당한다.
삼천리 관계자는 “‘천연가스차량 도입 사업에 대한 방법론’이 국내에서 최초로 승인됨에 따라 삼천리가 운송 부분, 특히 천연가스 차량 보급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에 선도적인 역할을 맡게 됐다“며 “향후 CNG하이브리드 버스 및 HCNG 버스 보급에도 앞장서며 다양한 분야에서 온실가스 감축 활동 지원을 통해 친환경 기업의 책임을 다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군포=김성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