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수의계약으로 ‘구역 독점’… 장수봉 시의원, 사회적기업 방식 등 변화 강조
매년 수의계약을 되풀이하며 선정하고 있는 의정부지역 청소대행업체들의 경쟁력과 청소의 효율성, 투명성을 높이려면 업체 수를 늘리고 사회적 기업 방식을 도입해 선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7일 열린 의정부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수봉 의원은 “의정부지역 청소대행업체들이 매년 수의 계약을 해오며 길게는 45년 짧게는 10년 이상 독점적으로 청소를 맡아오고 있다”고 지적한 뒤 “2000년 이후 민락2지구 등 구역과 인구가 증가하는 등 청소환경이 많이 바뀜에 따라 대행업체도 늘리고 새로운 방식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장 의원은 또 “성남시, 해운대구, 김해시 등에서 대행업체들을 사회적 기업 방식으로 선정해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수익금을 사회에 환원하는 등 변화를 주고 있어 주민들의 반응도 좋다” 며 의정부시도 이같은 사례를 연구, 검토해 도입할 용의는 없는지 물었다.
장 의원은 수의계약으로 사실상 구역 독점적 구도로 돼 있는 기존업체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청소서비스개선, 재정운영의 투명성, 절감 등을 위해 경쟁할 수 있도록 변화를 줘야한다고 강조했다.
의정부시 청소대행업체는 모두 4개 권역으로 나눠 일반, 음식물 쓰레기 등을 수거하고 있고 전문용역업체가 매년 산정한 쓰레기수거비용에 따라 매년 계약을 해오고 있다. 올해는 132억 원에 4개 업체가 계약했다.
노석준 의정부시 재정경제국장은 “환경부가 권고하는 청소업체 적정규모는 인구 10만명당 1개 업체이다”며 “민락지구를 포함한 고산지구개발 등 의정부시 인구가 45만명을 넘어서는 시점에서 적정한 시기에 전문용역을 거쳐 종합적으로 추진 하겠다”고 밝혔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