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장학재단 지원 ‘혈세잔치’

최근 2년간 시비 2억 ‘퍼주기’ 방침 어기고 일반인 채용 ‘월급’
이사진 現 시장 측근설 무성 시민들 “봉사 직분 망각” 지적

안성시가 특목고 설립비 60억원으로 장학재단을 설립한 후 장학재단에 별도로 2년여간 억대의 출연금을 지원하는 등 과도한 지원으로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6일 안성시와 (재)안성시민장학회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0년 10월 (재)안성시민장학회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조례는 재단의 원활한 사업을 위해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 4 규정에 따라 시장이 소속 공무원을 재단에 파견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시는 공무원을 파견하기로 했던 당초 방침을 어기고 재단이 설립된 지난 2011년부터 수천만원의 예산을 재단에 출연시켜 공무원이 아닌 일반인을 채용한 후 급료를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시는 지난해와 올해 시비 2억원을 재단 운영비로 지원하고 추가로 직원을 채용, 급여를 지급해 논란을 빚고 있다.

운영비에는 국장과 과장의 급료와 급식비, 명절수당, 홍보비, 잡비 등이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시가 장학회 이사와 감사의 임시회와 총회 참석 수당(1회 참석 시 7만원)까지 챙겨준 것으로 밝혀지면서 장학재단 일부 이사진이 현 시장의 측근과 지인으로 구성돼 이들에게 특혜를 주고 있다는 의혹까지 일고 있다.

이처럼 시가 재단 관내는 물론 관외 여비까지 예산을 지원해 주고 있는 것은 설립 당시 100억원 조성시까지 시민을 대상으로 1인1계좌 운동까지 벌인 것과 배치된다는 지적이다.

시민 A씨(47)는 “억대의 시 예산을 재단에 운영비와 이사 수당으로 준다는 소식에 화가 났다. 설립 당시 시민봉사를 원칙으로 하겠다던 장학재단이 하루속히 올바른 길로 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와 장학재단 관계자는 “수당을 받은 일부 1~2명 이사진은 장학기금으로 반환하고 있다”며 “직원으로 채용한 것은 위에서 하는 일이라 잘 모르겠다”고 해명했다.

안성=박석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