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장수하늘소’ 살아 있었다

8년만에 광릉숲에서 발견

멸종된 줄 알았던 천연기념물 218호 장수하늘소 수컷 1개체가 8년 만에 광릉숲에서 발견됐다.

20일 산림청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장수하늘소가 자연에서 발견된 것은 지난 2006년 암컷 1개체 이후 처음이다. 장수하늘소는 동아시아에 서식하는 곤충 중 가장 크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관찰되는 개체수가 극히 적어 천연기념물로 보호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장수하늘소의 출현시기인 매년 7월부터 9월까지 광릉숲을 집중적으로 조사해왔다.

광릉숲에서 장수하늘소가 다시 발견된 것은 그동안 보전대책에 따른 다각적인 관리와 보호로 숲의 생태계가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주 서식처인 서어나무 군락이 잘 보전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국립수목원 이봉우 박사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장수하늘소가 멸종됐다고 추정하고 복원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확인된 만큼 학술적인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발견”이라며 “앞으로 장수하늘소의 정확한 서식실태를 파악하고 보호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립수목원은 발견된 장수하늘소의 활력 회복을 위해 먹이를 공급하고, 형태적 특징이나 습성을 조사한 후 적절한 방사시기를 결정할 계획이다.

포천=안재권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