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2사단 2016년까지 평택行 당초 계획대로 이전 거듭 촉구 정부 일방적 추진땐 저항 경고
한미연합사단을 창설해 동두천에 잔류시키는 방안이 유력하다는 소식에 동두천시와 시의회가 강력 반발(본보 7월30일자 1면ㆍ1일자 2면)하고 있는 가운데 ‘미군재배치범시민대책위원회’도 정부의 일방적 계획을 반드시 저지하겠다는 강경투쟁을 선언하고 나섰다.
시민단체 50여개로 구성된 미군재배치범시민대책위원회는 지난 1일 연합사단 창설, 동두천 주둔설과 관련한 성명서를 내고 “미2사단을 애초 계획대로 2016년까지 평택으로 이전하지 않을 경우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11월 커티스 스카파로티 한미연합사령관의 한미연합사단 창설 후 동두천에 주둔할 것이라는 발언에 반발, 미군 공여지 반환 촉구 서한문을 청와대, 국방부, 미대사관에 전달했으나 아직까지 공식적인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분개했다.
또 “정부는 연합토지관리계획에 의한 미2사단의 평택 이전을 2016년까지 계획대로 이전하고 60여년간 미군주둔에 의한 애환과 희생에 대한 특별한 대책을 강구할 것”을 주장했다.
이어 △미2사단 당초 계획대로 평택 이전 및 조속한 기지이전을 위한 대책강구 △동두천에 미군재배치 계획 수립 시 반드시 동두천시가 협상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조치 △용산, 평택처럼 동두천시 지원 특별예산 편성 △동두천을 국가지원도시로 지정하여 직접 개발 등의 요구 사항을 정부에 촉구했다.
한종갑 위원장은 “동두천시민을 무시한 정부의 일방적 통행이 계속될 경우 엄청난 저항에 직면할 것이다”고 경고했다.
‘한미 연합사단 동두천 주둔 반대’ 성명서를 발표한 시의회도 이날 한미연합사령부 합동참모본부를 방문, 10만 시민의 분노를 담은 성명서를 전달하며 반발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한편 미군재배치 범시민대책위원회는 2016년 미2사단 평택 이전 계획과 맞물려 동두천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지난 2월 결성됐다.
동두천=송진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